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한국 AI 기업들, 인니 오면"…ASTI 아시아 진출 전략 머리 맞댔다

고석용 기자, 박기영 기자, 김진현 기자 기사 입력 2025.10.16 17: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2025 글로벌 ASTI 리더스포럼]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Mrs. Metty KUSMAYANTIE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부 차관보가 1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ASTI 글로벌리더스포럼에서 '인도네시아 산업 및 시장 현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창현
Mrs. Metty KUSMAYANTIE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부 차관보가 1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ASTI 글로벌리더스포럼에서 '인도네시아 산업 및 시장 현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창현
"한국의 AI(인공지능) 기술을 인도네시아 중소기업계에 접목한다면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겁니다. 엄청난 블루오션이 될 것입니다."

메티 쿠스마얀티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부 차관보는 1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글로벌 ASTI 리더스포럼'에서 세션 발표를 맡아 이같이 말했다. 메티 차관보는 "인도네시아는 AI 기술에서 초보 단계지만 산업계 적용 수요는 크다"며 "한국 기업들은 AI 기술 시장을 확대해야 하는 만큼 앞으로 양국의 협업 기회가 많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가 'ASTI'(과학기술정보협의회) 회원사들의 아시아 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하고 나섰다. 이날 포럼에 인도네시아 차관보를 초청해 접점을 만드는 한편 해외 진출 지원 전략에 대해 열띤 논의도 진행했다.

서성호 KISTI 부울경지원장은 "아세안 산·학·연 협력체들과 공동 R&D(연구개발) 등을 추진하고 회원사들과 협력 기회를 만들 것"이라고 했다. 이종성 KISTI 책임도 "앞으로 ASTI 회원 기업들이 인도네시아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고, 이를 다른 아세안 국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며 "각국 정부와 협력해 현지 시장 데이터를 공급받고 이를 회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분석해 공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동권 삼천리네트웍스 인도네시아 법인장이 1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ASTI 글로벌리더스포럼에서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으로의 중소기업 진출 기회 논의'에 발언하고 있다. /사진=김창현 chmt@
손동권 삼천리네트웍스 인도네시아 법인장이 1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ASTI 글로벌리더스포럼에서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으로의 중소기업 진출 기회 논의'에 발언하고 있다. /사진=김창현 chmt@
발표 후 이뤄진 패널토론에서는 해외 시장 진출 지원 전략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박승찬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도 "미·중 무역 갈등과 AI 등 신기술 전쟁 사회에서는 기업들이 '원팀'을 이뤄서 면밀하게 준비해야 한다"며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ASTI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GDIN(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은 현지 진출 지원 프로그램을 공유했다. 장석진 GDIN 본부장은 "법률, 특허, 회계·마케팅 등 분야별 컨설팅을 지원하고 조인트 벤처 설립 등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밖에 안창덕 세계화학공업 대표, 손동권 삼천리네트웍스 인도네시아 법인장, 최양석 빅트리 대표도 자사의 글로벌 진출 경험을 소개하며 KISTI와 GDIN 등 해외 진출 지원기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세션은 ASTI가 회원사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면서 시작됐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외 진출 전략을 세우고 공동 협력사업을 발굴하는 방식이다. 이종성 KISTI 책임은 "앞으로 아스티 회원 기업들이 인도네시아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고, 이를 다른 아세안 국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며 "내년 리더스 포럼에서는 이러한 성과 사례를 회원들과 공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