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봇은 '로봇을 매개로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그리고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업과 조직에서 시작하는 서비스 로봇에 대한 수요와 관심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업입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 전문기업 클로봇이 IT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씨아이테크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스마트병원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AI 자율주행 로봇 솔루션 공동 개발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클로봇의 실내 자율주행 플랫폼과 씨아이테크의 온프레미스 AI 연산 기술을 결합해 병원, 도서관, 공공기관, 스마트빌딩 등 다양한 공간에 적용 가능한 융합형 AI 로봇 솔루션을 개발하고, 상용화를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양사는 향후 스마트시티 등 대규모 디지털 인프라 시장으로도 협력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클로봇은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실내 이동 기술과 설비 연동 알고리즘 분야에서 다수의 상용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출입 게이트 등과의 안정적인 연동을 통해 실제 운영 환경에서 높은 이동성과 효율성을 구현해왔다.
2025.06.13 12:00:00"로봇이 스스로 물건을 찾고 길을 찾아서 운반해주는 세상" 한때는 상상 속에만 존재하던 미래였지만, 지금은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클로봇은 이런 기술을 현실로 구현하고 있는 딥테크 기업이다. 로봇을 활용해 병원에서는 약품을 운반하고, 공장에서는 부품을 이곳저곳에 옮긴다. 클로봇이 개발하는 기술은 자율이동로봇(AMR) 기반의 스마트 물류 솔루션이다. 사람이 수행하던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을 로봇이 대신해 현장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끌어올리는 것이 핵심이다. 클로봇은 대형병원, 물류센터, 제조공장 등에 투입해 정밀한 경로 판단 능력과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실제 업무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하지만 기술의 진보는 단번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클로봇이 창업 초기 마주했던 현실은 높은 기술 장벽과 불확실성으로 인해 쉽게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운 환경이었다. 특히 딥테크 분야는 연구개발 기간이 길고 상용화까지 수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빠른 수익을 기대하는 일반 민간 투자자들에게는 매력적
2025.06.10 15:04:0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로봇 서비스 솔루션 스타트업 클로봇과 LG CNS가 인천국제공항에 다양한 지능형 로봇들과 관제 솔루션을 공급한다. 클로봇과 LG CNS 컨소시엄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이같은 내용의 '다기종 로봇 제작 및 5G 디지털트윈 관제 구축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클로봇은 인천공항에 AI(인공지능) 기반의 안내로봇 서비스, 보안로봇 서비스, 도슨트로봇 서비스와 디지털트윈 기반의 관제시스템을 공급하고 LG CNS는 로봇·디지털트윈 인프라, 5G 특화망, 지능형 로봇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클로봇은 이를 위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이기종 통합관제시스템인 '크롬스'를 고도화한다. 사업이 완료되면 클로봇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디지털트윈 기술이 적용된 이기종 로봇 관제시스템 기술을 보유하게 된다. 앞서 클로봇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도서관,
2024.10.11 21: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기업 클로봇이 보스턴다이나믹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사족 보행 로봇 '스팟'의 공식 유통과 솔루션 공급을 담당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양측은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스팟의 한국 시장 공략에 힘을 쏟는다. 클로봇은 제조, 물류, 건설, 공공 안전 등 국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스팟의 상용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클로봇은 유지보수 서비스(On-site repair)로 보다 빠른 고객 대응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클로봇은 로봇 전문 엔지니어 팀을 만들고, 보스턴다이나믹스 본사에서 유지보수 교육까지 완수하는 등 전문 서비스 인력 구성에 힘을 기울였다. 클로봇은 2017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출신 로봇연구진들이 창업한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현대차그룹 제로원, 네이버 D2SF, 롯데벤처스 등에서 누적 32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2024.10.04 18: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로보틱스 기술 기업 클로봇이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고 27일 밝혔다. 클로봇은 총 300만주를 공모할 예정이다. 희망 공모가 범위는 9400~1만900원, 총 공모금액은 282~327억원이다. 다음달 23~27일 국내외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이후 일반투자자 청약을 거쳐 10월 상장할 계획이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클로봇은 2017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출신 로봇연구진들이 창업한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현대차그룹 제로원, 네이버 D2SF, 롯데벤처스 등에서 누적 32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대표적인 제품은 △범용 로봇 주행 솔루션 '카멜레온' △이기종 로봇 관제 솔루션 '크롬스'다. 하드웨어에 구애받지 않는 범용 솔루션으로 방역, 보안, 이송, 안내 등 다양한 실내 자율 주행 로봇 서
2024.08.27 18: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