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그리너지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납축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리튬이차전지를 연구 개발하는 기업입니다. 더 적은 화학물질로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매우 안전한 이차 전지 개발로 인류의 더 나은 삶과 행복을 위해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LTO(리튬티탄산화물) 이차전지를 개발한 스타트업 그리너지가 미국 뉴욕대학교(NYU) 스턴 경영대학원이 주관하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EFL'에 선발됐다고 23일 밝혔다. EFL은 뉴욕대학교(NYU) 스턴 경영대학원이 과학과 혁신 기반의 스타트업을 보육하기 위해 만든 보육 프로그램이다. 매년 75개 스타트업을 선발하며, 올해는 약 1400개 기업이 지원해 20대1 가량의 경쟁률을 보였다. 그리너지는 한국 기업 중 유일하게 프로그램에 선발됐다. 프로그램에 선정된 스타트업은 9개월 동안 현직 전문가와 벤처캐피탈(VC), 학계 인사와의 맞춤형 멘토링을 받게 된다. 캐나다의 럭스소닉(Luxsonic), 미국의 게코 머티리얼즈(geCKo materials) 등 스타트업이 이 프로그램을 거쳤다. 그리너지 측은 "이번 EFL 선정으로 NYU 스턴 경영대학원과 세계 주요 투자
2025.09.23 16: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리튬 이차전지 스타트업 그리너지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2024년 예비유니콘 기업에 선정된 데 대해 "현재 이차전지의 단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높은 시장성이 있다는 점을 공식적으로 인정 받은 점이 가장 큰 수확일 것"이라고 27일 밝혔다. 방성용 그리너지 대표는 이날 머니투데이 유니콘팩토리와 통화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리너지는 리튬티탄산화물(LTO)을 이용한 이차전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지난 25일 중기부의 '예비유니콘'에 선정됐다. 이를 통해 최대 200억원 수준의 기술보증기금 특별보증 및 한국거래소 기술특례상장 자문 서비스 등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됐다. 방 대표는 "지난 수년 간 급성장했던 EV(전기차)와 이차전지에 대한 시장 전망이 최근 다소 누그러들었다"며 "이런 와중에 대한민국 기술과 인력으로 화재 위험성이 적고 안전한 LTO 배터리 기술개발을 한 점을
2024.06.27 17:52:42[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국내 LTO(리튬티타네이트) 배터리 전문기업 그리너지가 미국 캘리포니아의 한 전기차 회사에 5년간 500만달러(67억원) 규모의 전장 부품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그리너지가 공급하는 부품은 배터리셀 사업과 함께 병행하는 전장 관련 사업부에서 개발하는 부품이다. 그리너지는 관련 부품으로도 성과를 내면서 미국의 전기차 기업 부품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한편 그리너지는 배터리 관련 사업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영국의 스마트 그리드 업체인 스냅패스트(Snapfast)에 태양광 관련 배터리를 공급하기 시작한 것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영국 뉴캐슬 태양광 업체와 함께 가정용 ESS(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셀 공급계약도 체결했다. 동시에 영국 런던의 에너지 기업과 20kWh ~ 60kWh급 건설 현장용 ESS용 배터리셀을 공급하는 내
2024.02.20 19:00:00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글로벌 배터리 대기업들을 제치고 돌풍을 일으키는 배터리 개발 스타트업이 있다. 리튬티타네이트(LTO) 배터리의 파우치형 양산에 세계 최초로 성공한 한국 스타트업 그리너지의 이야기다. 그리너지는 최근 미국의 한 로봇기업과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로봇에 사용될 LTO 배터리를 제공하는 내용으로 계약규모는 총 500만달러(69억원)다. 방성용 그리너지 대표는 "올해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양산·공급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앞서 그리너지는 네덜란드, 핀란드 등 유럽시장에서도 굵직한 계약에 잇달아 성공했다. 네덜란드에서는 한 건설장비업체와 LTO 배터리를 통한 ESS(에너지저장장치) 개발·실증을 진행하기로 했다. 개발이 완료되면 양산규모는 5년간 24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핀란드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차세대 트램에 들어갈 LTO 배터리 공급 논의도 진행하고 있다. 방 대표는 "네덜란드와 핀란드까지 본격적으로 수주를 하게될 경우 전체 수주 규모는 연 70
2022.09.18 09: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