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원랩은 자연이 준 소재가 온전히 다시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깨끗하고 무해한 새로운 플라스틱의 세상을 만듭니다. 데이원랩은 천연고분자를 연구하여, 플라스틱의 탄소 배출 문제 및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여,사람의 편익은 유지하고 자연을 지키는 일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바이오매스(천연원료) 기반의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제품 개발 스타트업 더데이원랩이 씨제이프레시웨이, 삼성웰스토리, 신세계푸드, 후니드 등 단체급식 기업들과 생분해 봉투 공급을 논의한다. 2일 더데이원랩에 따르면, 씨제이프레시웨이, 삼성웰스토리, 신세계푸드, 후니드 등 단체급식 제공업체 4곳은 지난달(8월) 30일 더데이원랩, SK하이닉스, 경기도 이천시,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1회용 플라스틱 사용 저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올해 초 사내식당에서 이용되는 간편식 봉투를 더데이원랩의 생분해 봉투로 대체했다. 이를 통해 연간 플라스틱 사용량 15톤,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는 170톤을 저감시킬 것으로 보고있다. 이번 협약은 급식업체 4곳이 SK하이닉스와 더데이원랩의 사례를 토대로 급식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봉투를 생분해 봉투로 전환해나가기 위해 진행됐
2024.09.02 18: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기존 '생분해 플라스틱'하고는 원천적으로 다른 소재입니다. 전분과 셀룰로스로만, 그러니까 만두피와 나뭇잎으로만 만들어진 플라스틱인 셈입니다. 음식물이나 나뭇잎처럼 자연에서 완전히 썩어요." 이주봉 더데이원랩 대표가 건넨 플라스틱 봉투에서는 고소한 냄새가 났다. 탄수화물에 열과 압력을 가할 때 발생하는 냄새로, 팝콘이나 달고나 냄새랑도 유사했다. 이 대표는 "식용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어서 절대 먹으면 안 되지만, 이론적으로는 먹어도 될 만큼 무해하다"고 했다. ━특정 온습도 아니어도 분해…소각 시 CO2 발생량도↓━더데이원랩은 바이오매스(천연원료) 기반의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 '리타치'를 만드는 스타트업이다. 시중에 '친환경 인증(EL724)'을 받은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들이 이미 많지만 리타치는 이들과 다른 원료로 플라스틱 소재를 만든다. 기존 소재(PLA, P
2024.07.17 18:31: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신소재 스타트업 더데이원랩이 SK하이닉스의 사내 플라스틱 대체용품을 공급한다고 27일 밝혔다. 더데이원랩이 공급하는 물품들은 탄수화물 기반으로 제작된 플라스틱 대체 물품이다. 플라스틱과 달리 생산 및 폐기 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또 분해 과정에서 퇴비화 및 혐기성 소화(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가능해 미세 플라스틱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데이원랩은 이런 기술을 바탕으로 올해 초 CES2024에서 혁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더데이원랩은 먼저 SK하이닉스 캠퍼스 내 임직원에게 제공되던 간편식 봉투부터 대체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이를 통해 연간 약 720만장의 봉투 사용량을 줄일 것으로 기대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하면 연간 약 170톤이다. 이후에는 간편식 봉투뿐 아니라, 간편식 용기, 결식아동 도시락 등으로 확대 적용한다. 제품 확대 적용
2024.05.27 18: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