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딥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
학생창업 부문 대상-한국과학기술원(KAIST) '나노포지에이아이'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에너지플러스 2025' K-딥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 /사진=김창현 기자 chmt@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 신소재 개발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나노포지에이아이'가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K-딥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 결선에서 대상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부총리상을 수상했다.
나노포지에이아이는 이날 머니투데이가 주최한 '스마트에너지플러스 2025'의 특별 부대행사로 열린 왕중왕전에 KAIST 학생창업 대표로 진출, 이같이 수상했다. 대상팀은 △후속 투자유치 연계 △팁스 추천 △사업파트너 연결 △기술·경영·해외진출 분야 컨설팅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나노포지에이아이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 20대 청년들이 뭉쳐 창업했다. 김동현 대표는 기존에 10여년 걸릴 수도 있는 산업용 신소재·물질 개발을 최단 1개월 이내로 단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나노포지에이아이는 신소재 탐색은 물론 이를 합성제조하는 방법(레시피)을 확보, 실제 합성을 자동화하는 단계 모두에 걸쳐 경쟁력을 고도화하고 있다.
김 대표는 "AI기반 소재시장은 연평균 40% 성장할 정도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데 주로 AI를 활용해 후보물질을 제시하는 방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며 "우리는 실제로 물질을 합성해보고 제대로 작동하는지 검증해 기존의 합성법 대비 빠른 재현성을 달성하고자 한다"고 차별점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를 통해 10년 이상 걸리던 소재개발(기간)을 한 달로 단축하는 게 목표"라며 "기술력을 바탕으로 올해 '딥테크 팁스'에도 선정됐다"고 덧붙였다.
나노포지에이아이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포스텍(옛 포항공대) 등의 학생창업기업과 대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부총리상)을 놓고 겨뤘다.
앞서 각 대학의 기술사업화팀·산학협력팀·창업진흥센터 내부심사 및 유니콘팩토리가 별도 구성한 심사위원들이 IR덱 등을 토대로 엄선, 교원·학생창업 부문당 5개씩 총 10개 팀이 결선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