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국가대표 AI 주인공은…네이버·업스테이지·SKT·NC AI·LG 5팀

박건희 기자 기사 입력 2025.08.04 14: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1차 결과 발표
네이버클라우드·업스테이지·SKT·NC AI·LG AI연구원 5개팀
"AI 개발 역량·오픈소스 정책·사업 고도화 능력 증명"
8월 초 개발 착수…GPU, 데이터, 인건비 지원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5개 정예팀/그래픽=윤선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5개 정예팀/그래픽=윤선정
한국형 소버린 AI(인공지능) 개발을 이끌 '정예 팀'으로 5팀이 선발됐다. 2025년까지 1차 개발을 이끌 정예 팀은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56,200원 ▲700 +1.26%)(SKT) △NC AI △LG AI연구원이다.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형 LLM(거대언어모델) 개발을 위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사업(이하 독자 AI 모델 사업) 선정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은 텍스트·음성·이미지·비디오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국가 공통 '기초지능'을 확보하고 전 국민 AI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할 계획이다.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은 파운데이션 모델 '솔라 WBL'을 기반으로 3년간 대국민 AI 서비스를 제공해 사용자 1000만명을 달성하고, 법률·제조·국방 등으로 서비스를 확산한다는 목표다. SKT 컨소시엄은 '포스트-트랜스포머 AI 모델'을 기반으로 범용 AI 에이전트 및 전문 지식 특화 AI 에이전트를 만들고 제조, 자동차, 게임, 로봇 등의 영역에서 AI 서비스를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NC AI 컨소시엄은 200B 급 대규모 언어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제조, 유통, 로봇, 콘텐츠, 공공 산업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집중한다. LG AI연구원 컨소시엄은 전문성·범용성을 모두 갖춘 고성능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풀 스택 AI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5개 정예 팀 모두 수준높은 AI 모델 개발 역량을 보유한 것으로 증명됐다. 개발한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다른 기업이 상업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오픈소스 정책을 제시했고 기존 언어모델을 넘어 고도화할 수 있는 도전적 목표를 보여줬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정부는 9월부터 100억원 규모의 데이터를 공동구매 및 가공해 각 팀에 제공할 계획이다. 더불어 자체 AI 모델 개발에 특화된 데이터 세트를 구축, 가공할 수 있도록 팀별 28억원을 추가 지원하고 200억원 규모의 고품질 방송영상 학습용 데이터를 지원한다. GPU(그래픽처리장치)의 경우 업스테이지, NC AI, LG AI연구원 팀이 올해 B200 512장 또는 H100 1024장을 지원받게 된다. 앞서 정부에 GPU를 임대해 줄 'GPU 임차사업'의 공급사로 선정된 SKT와 네이버클라우드는 올해 GPU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인재 지원을 신청한 업스테이지는 해외 우수 연구자의 인건비,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과기정통부는 사업비 심의·조정 단계를 거쳐 5개 정예 팀의 사업 범위, 지원 내역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르면 이달 초 5개 정예팀과 협약을 체결한 후 올해 말까지 개발, 확보한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12월 말 1차 단계평가를 거쳐 4개 팀으로 압축한다. 5개 정예팀은 'K-AI 모델' 혹은 'K-AI 기업'으로 불리게 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프로젝트는 '모두의 AI'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소버린 AI 생태계의 확장을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AI'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 기자 사진 박건희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