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 그랩이 싱가포르 도심 공동도로 최초 자율주행 셔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위탕 그랩 오퍼레이션 헤드(왼쪽 세번째)와 김호진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사업개발실 상무(오른쪽 세번째)자율주행 스타트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이하 에이투지)가 동남아시아의 배달·승차 공유 플랫폼 그랩과 협력해 싱가포르 도심 공공도로 최초의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업으로 에이투지는 9일부터 싱가포르의 그랩 본사와 원노스 지하철(MRT)역 사이 3.9km 구간에서 24인승 버스를 기반으로 그랩 임직원들을 위한 자율주행 출퇴근 셔틀을 운영한다. 작동구간 내에선 운전자가 필요 없는 레벨4 자율주행 솔루션이지만, 안전을 위해 훈련받은 기사가 탑승할 예정이다.
양사는 지난 3월 동남아시아에서 자율주행 차량 서비스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후 5월에 한국 기업 최초로 싱가포르 최초의 자율주행 면허 'M1'을 취득하고 현지 자율주행 시험장을 통한 라이다 성능테스트도 진행했다. 셔틀 서비스는 해당 협약 이후 도출된 첫 번째 성과다.
에이투지는 싱가포르의 열대 기후, 도시 환경, 우핸들·좌측 통행 교통법규 등에 대응하기 위해 운행 구간에서 100시간 이상의 AI(인공지능) 훈련을 진행했다. 훈련은 △데이터 수집 △데이터 주석(라벨링) △알고리즘 훈련 △경로 테스트 등에 중점을 뒀다.
에이투지와 그랩은 승객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운영 시스템도 마련했다. 그랩의 차량 솔루션 카르타대시캠(KartaDashcam)이 승객 수와 셔틀 위치 정보를 감지한 뒤 그랩 앱에 정보를 실시간 나타내는 방식이다. 승객들은 이를 통해 셔틀 스케줄, 차량 위치, 빈 좌석 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에이투지는 서비스 운영과 함께 추가적인 훈련도 지속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동남아에서 차량 운행을 점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그밖에 그랩과 함께 택시 기사 등을 자율주행 셔틀 안전기사로 교육해 연말까지 최대 10명의 안전 기사를 육성하기로 했다.
이위탕(Yee Wee Tang) 그랩 오퍼레이션 지역 헤드는 "그랩의 최우선 과제는 '안전'으로, 에이투지와 함께 자율주행 파일럿을 신중하고 단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이번 서비스를 통해 자율주행의 안전 성능을 평가하고 신규 일자리도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김호진 에이투지 사업개발실 상무는 "에이투지가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및 비즈니스 경쟁력을 인정받은 계기"라며 "에이투지만의 풀스택 자율주행 기술과 현지 맞춤형 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해 동남아시아 자율주행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