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팬덤 비즈니스 플랫폼 '비스테이지(b. stage)'를 운영하는 비마이프렌즈가 월간 활성화 이용자 수(MAU) 100만명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2022년 4월 정식 서비스 출시 이후 2년 만에 달성한 성과다.
비스테이지는 연예인 등 크리에이터나 브랜드가 팬과 소통하고 자신의 지식재산권(IP)을 수익화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팬과의 커뮤니티, 멤버십 운영, 굿즈 판매 등 아티스트의 성공적인 팬덤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비스테이지는 한국과 미국, 일본 등 글로벌 거점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국내외 130개 이상의 고객사가 비스테이지를 도입해 팬덤 비즈니스를 확장했다. K-팝과 엔터테인먼트 영역을 넘어 e-스포츠, 배우,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중이다.
전세계 224개국 팬덤이 비스테이지에 방문했고 굿즈 등 다양한 팬덤 관련 기획 상품과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한 국가는 150개국 이상에 달한다. 지난달 기준 비스테이지로 구축된 팬덤 플랫폼들의 리텐션(사용자 유지율)은 70% 수준이다.
이기영 비마이프렌즈 공동대표는 "글로벌 팬덤의 유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도 전세계 팬덤이 있는 누구나 비스테이지로 성공적인 팬덤 비즈니스를 전개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비스테이지는 연예인 등 크리에이터나 브랜드가 팬과 소통하고 자신의 지식재산권(IP)을 수익화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팬과의 커뮤니티, 멤버십 운영, 굿즈 판매 등 아티스트의 성공적인 팬덤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비스테이지는 한국과 미국, 일본 등 글로벌 거점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국내외 130개 이상의 고객사가 비스테이지를 도입해 팬덤 비즈니스를 확장했다. K-팝과 엔터테인먼트 영역을 넘어 e-스포츠, 배우,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중이다.
전세계 224개국 팬덤이 비스테이지에 방문했고 굿즈 등 다양한 팬덤 관련 기획 상품과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한 국가는 150개국 이상에 달한다. 지난달 기준 비스테이지로 구축된 팬덤 플랫폼들의 리텐션(사용자 유지율)은 70% 수준이다.
이기영 비마이프렌즈 공동대표는 "글로벌 팬덤의 유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도 전세계 팬덤이 있는 누구나 비스테이지로 성공적인 팬덤 비즈니스를 전개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비마이프렌즈
- 사업분야엔터∙라이프스타일
- 활용기술빅데이터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비마이프렌즈'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총 구독자 1200만 '딩고' 손잡은 팬덤 플랫폼…"글로벌 소통 강화"
- 기사 이미지 지드래곤 이어 손흥민도 쓴다…'팬덤 소통' 창구로 택한 플랫폼
- 기사 이미지 지드래곤 컴백, 팬 커뮤니티 '여기'에 열었다…"양질의 소통 확대"
관련기사
- '위워크 쇼크'에도 꿋꿋이 성장한 스파크플러스…2년 연속 흑자
- 독일·덴마크 기업 손잡은 'K-드론', 선박안전·풍력발전 관리 최적화
- 기업·개인의 소프트웨어 구매 효율화…디노, '쏘구' 출시
- 서울 기업 IP 분쟁·상표도용 문제 돕는다…SBA-KOIPA 맞손
- "가상자산 투자 인사이트 제공"…보난자랩-에프앤가이드 맞손
- 기자 사진 최태범 기자 bum_t@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