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장 풀리니 비대면진료 급증…소아과·만성질환 의료공백 메꿨다

남미래 기자 기사 입력 2024.04.10 11: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정부가 전공의 파업 대응 방안으로 비대면진료를 전면 확대한 이후 관련 플랫폼을 찾는 의료 소비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소아과와 만성질환자 중심으로 비대면진료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의원급 의료기관 중심으로 비대면진료가 이뤄지면서 병원급 의료기관의 수요를 대체하기엔 역부족이란 지적도 나온다.

10일 원격의료산업협의회(원산협)에 따르면 닥터나우, 나만의닥터, 굿닥, 솔닥 등 비대면진료 플랫폼 4개사의 일평균 비대면진료 건수는 2월 3937건에서 3월 5020건으로 늘었다. 이달 들어서는 5762건으로 2월보다 46% 넘게 증가했다. 이슬 원산협 공동회장은 "비대면 진료가 전면 허용된 이후 이용자가 급증했다"며 "업체마다 다르지만 일평균 비대면진료 건수가 전면 허용 이후 3000건대로 늘다가 최근에는 6000건에 육박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월말 정부는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으로 의료공백이 커지자 비대면진료를 전면 허용했다. 그동안 의료취약지나 주말·공휴일에만 초진 환자의 비대면진료가 가능했지만, 이제는 초진환자나 의료취약지가 아닌 곳에서도 평일에 비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개원의들도 4월부터 주 40시간 단축 진료를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진 1일 서울의 한 의원에 진료시간 변경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의협 비대위에 따르면 이는 법 테두리 안에서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점차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4.04.01. kkssmm99@newsis.com /사진=고승민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개원의들도 4월부터 주 40시간 단축 진료를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진 1일 서울의 한 의원에 진료시간 변경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의협 비대위에 따르면 이는 법 테두리 안에서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점차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4.04.01. kkssmm99@newsis.com /사진=고승민
지난 1일부터 개원의가 단축 진료에 나섰지만 비대면진료 건수는 계속 늘어나는 등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대한의사협회는 4월부터 개원의도 주 40시간 단축 진료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비대면 진료 플랫폼에 입점한 의사들 대부분이 동네 의원을 운영하는 개원의이기 때문에 비대면진료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비대면진료 전면 확대 후 이용률이 가장 크게 증가한 진료과목은 소아청소년과였다. 닥터나우의 경우 소아청소년과 진료비중이 10% 미만에서 30%대까지 증가하며 전체 진료과목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나만의닥터도 3월 소아청소년과 진료 건수가 비대면진료가 제한적으로 허용된 1월보다 40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3학년 자녀를 둔 A씨는 "아이가 태생적으로 기관지가 좋지 않아 약을 빨리 먹지 않으면 폐렴 증상까지 보이는 경우가 있었다"며 "주말 저녁에 갑자기 아이의 기관지가 안 좋아졌는데 병원에 가기 어려워 비대면진료 어플을 통해 기관지 스프레이를 처방받았다"고 말했다.

다만, 비대면진료가 의료 공백을 완전히 메우기엔 한계가 있어 보인다. 현재 의료공백은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데 비대면진료 플랫폼에 뛰어든 곳이 없어서다. 지난 3일부터 전국 보건소·보건지소의 비대면 진료도 허용됐지만 아직 비대면진료 솔루션 도입을 논의하는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올라케어는 병원급 의료기관들과 자사 솔루션을 공급하기로 논의했으나 결국 무산됐다. 이달부터 서울대병원 희귀질환센터와 함께 시작할 예정이던 비대면진료 서비스도 개발은 완료했지만 의료대란 문제로 5~6월로 잠정 연기된 상태다.

올라케어 운영사 블루앤트의 김성현 대표는 "지금의 비대면진료는 의료대란에 따른 일시적 전면 확대"라며 "비용을 들여 솔루션을 도입해도 추후 다시 금지될 수 있다는 정책 불확실성 때문에 결국 (솔루션 도입이) 무산됐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병원급 의료기관도 수술 후 경과나 만성질환자의 증상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사후관리를 위한 비대면진료 수요는 높은 상황"이라며 "비대면진료 건수를 늘리는 것을 넘어 유의미한 서비스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이어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비대면진료'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