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창업=투자 리스크' 인식...폐쇄적 문화에 스케일업 한계

김태현 기자 기사 입력 2023.01.07 11: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MT리포트-머나먼 코리안 '창업' 드림]③

[편집자주] 국내 창업생태계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코리안 창업 드림'을 꿈꾸고 한국을 찾는 외국인 창업가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는 국내 창업생태계에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떠나는 실정이다. 한국이 혁신창업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선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창업생태계도 글로벌 다양성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머니투데이가 국내 외국인 창업의 현주소를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봤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 벤처캐피탈(VC)과 스타트업 업계는 인적 네트워크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언어 장벽까지 있는 외국인 창업가 입장에서 이를 뚫고 투자 유치를 받기란 쉽지 않다."

국내에서 배달 스타트업 '셔틀 딜리버리(Shuttle Delivery)'를 운영 중인 제이슨 바테 대표는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바테 대표는 "학력 혹은 지연 등 인적 네트워크 의존도가 높은 폐쇄적인 환경이다 보니 외국인 창업가가 정착하기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바테 대표는 2014년 셔틀 딜리버리 전신인 '와이낫-테이크아웃(Ynot-Takeout)'을 창업하면서 국내 스타트업 업계에 뛰어들었다. 이후 2016년 셔틀 딜리버리를 공동 창업했다.

10년 넘게 한국 스타트업 업계에 몸담아왔지만 국내 VC로부터 투자 유치는 받지 못했다. 바테 대표는 "그동안 한국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쌓는 데 공을 들였다"며 "관계를 쌓고 '계속해서 한국을 중심으로 성장하겠다'는 신뢰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폐쇄적 문화는 외국인 창업가에게 큰 장벽이다. 국내 외국인 스타트업 커뮤니티 '서울스타트업스'를 운영하는 마르타 알리나 사우스벤처스 이사는 "특히 스케일업이 쉽지 않다. 외국인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를 하려고 하면 투자자들은 '언제든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거 아니냐'고 질문한다"며 "한국 사업에 대한 진전성을 보여줘도 신뢰를 얻기 힘들다"고 말했다.

2019년 한국에서 패션 플랫폼을 창업한 외국인 A씨는 "최근 사업 확장을 위해 후속투자 유치에 나섰지만 '한국인 직원 채용 수가 적다'는 이유로 외면 받았다"며 "협업 파트너사들이 대부분 한국 기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채용 여부를 문의했다"고 말했다.

오픈이노베이션도 마찬가지다. 대기업에 오픈이노베이션을 제안해도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이유로 거절하는 경우가 많다. 설령 오픈이노베이션 협약을 맺었다 하더라도 원활하게 진행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홍콩 출신 창업가가 설립한 전기차 충전 스타트업은 2019년 국내 대기업 CVC(기업형 벤처캐피탈)와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한 협약을 맺었지만 3년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VC 업계도 이런 지적을 어느정도 인정하고 있다. 전화성 씨엔티테크 대표는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를 시작할 당시만 해도 폐쇄적인 분위기가 있었다"며 "그러나 K-브랜드 인기로 외국인들의 한국 창업 수요가 늘어나면서 국내 분위기도 서서히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는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2016년 시작한 외국인 창업 프로그램이다. 씨엔티테크는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의 액셀러레이터(AC) 파트너로 활동 중이다.

다만 전 대표는 "한국의 기술력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이에 걸맞는 기술력과 서비스를 갖추지 못하면 외국인 스타트업도 살아남을 수 없다. 자체적인 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유니콘팩토리'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