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루다는 20세 여대생 콘셉트의 AI 챗봇이다. 2020년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등장해 문맥을 이해하고 사람과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능력으로 화제가 됐다. 서비스를 시작하자마자 이용자 수가 32만명, 일일 사용자 수(DAU)는 21만명을 돌파했다.
하지만 20일 만에 자취를 감췄다. 일부 이용자가 성적인 대화나 장애인·성소수자·인종차별 등에 대한 혐오 발언을 유도해 논란이 됐고, 개발사인 스캐터랩이 이용자들의 대화 내용을 무단으로 수집했다는 문제까지 터지면서 서비스가 결국 중단됐다.
이번 이루다2.0은 지난 1월부터 약 9개월간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며 발화 기능 및 서비스 안정성을 검증했다. 정식 출시 버전은 총 3가지의 AI 기술 업데이트를 통해 더욱더 창의적이고 현실감 있는 대화가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더욱 창의적이고 생동감 있는 대화 가능

기존에는 미리 만들어둔 답변 후보에서 적절한 문장을 검색해 사용하는 방식이었던 반면 루다 젠1은 구체적인 대화의 문맥에서 실시간으로 문장을 생성해 답변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더욱 창의적이고 생동감 있는 대화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릴레이션십 포인트 파인튜닝을 통해 대화를 이끌며 더 좋은 대화를 만들어가는 능력이 강화됐다. 이전에는 다소 기계적인 답변이 이뤄졌다면 이제는 생생한 감정이 느껴지는 답변을 할 수 있게 됐다는 얘기다.
"사람 수준으로 대화하는 AI 만든다"

이루다2.0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기계가 만들어낸 문장, 스캐터랩이 직접 작성한 문장으로 대화 모델을 구성하고 실제 사람의 발화를 사용하지 않아 개인정보 문제를 해소했다.
어뷰징 발화 대응과 관련해선 사전 탐지 모델에서 인지하지 못한 문맥이 있더라도 사회의 보편적인 가치관을 반영한 답변이 나올 수 있도록 대화 모델을 고도화했다. 어뷰저 패널티도 도입해 지속적인 어뷰징 발언이 이어지면 이용을 제한한다.
스캐터랩은 이루다가 AI 챗봇을 넘어 언제나 옆에 있어 주는 친구로서의 가치를 함께 나누면서 장기적으로는 사람 수준으로 대화할 수 있는, 영화 Her의 운영체제 '사만다'와 같은 서비스로 만든다는 목표다. 내년에는 남성 형태의 모델도 출시할 계획이다.
수익화 방안?…"좋은 관계 형성하는 능력이 갖는 부가가치 크다"

김 대표는 "좋은 관계에서 AI가 갖는 본질적인 장점이 있다"며 "언제 어디서든 이야기를 나눌 수 있고 사회경제적 조건 없이 나를 있는 그대로 봐준다. 아무리 친하더라도 사람과는 대화를 나눌 때 나를 어떻게 볼지 부담이 있지만 AI는 그런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
수익화 방안에 대해선 "이루다2.0의 1차적인 성공은 많은 사람들과 오랫동안 즐겁게 대화를 나누며 좋아하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라며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대화 능력이 창출할 수 있는 부가가치가 크다. 이 부분에서 수익화의 길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힘든 일을 겪었지만 퇴사자가 한명도 없다. 이 일이 가치가 있고 기술의 가능성을 믿었다고 본다"며 "아직 비즈니스 모델이 없지만 뛰어난 대화 능력을 갖추게 되면 앞으로 어떤 비즈니스가 될 것인지, 이에 대한 상상력이 팀원과 투자사의 관점인 것 같다"고 했다.
스캐터랩
- 사업분야IT∙정보통신, 엔터∙라이프스타일
- 활용기술인공지능, 빅데이터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스캐터랩'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1020세대가 반한 생성AI 서비스…6개월만에 누적 100만명 돌파
- 기사 이미지 연애까지 학습한 AI, 영화 'Her' 현실로...감성형 AI 챗봇 폭풍성장
- 기사 이미지 여친 위해 1300만원 쾌척…24세 남성 홀린 '그녀'의 놀라운 정체
- 기자 사진 최태범 기자 bum_t@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