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편한세상은 육아문제를 가장 빠르게 해결할 수 있게 도와주는 스타트업입니다. 아이돌봄시간 공유 서비스로서 좋은 아이돌보미와 아이돌봄 일자리를 빠르고 쉽게 구할 수 있는 구인구직 플랫폼 '맘시터'를 운영중에 있습니다. 서비스 5년만에 회원수 90만 명을 달성하며 가파른 성장중입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아이돌봄 플랫폼 '맘시터'를 운영하는 맘편한세상이 고용노동부가 개최한 '일·가정 양립 우수사례 수기 공모전'에서 기업 부문 최우수상(장관상)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고용노동부는 직장인의 육아 부담을 완화하고 출산·육아기에 활용할 수 있는 일·육아 지원제도와 유연근무 활용 사례를 발굴·공유하기 위해 이번 공모전을 진행했다. 기업·개인 부문 수상작 총 22개다. 2016년 설립된 맘편한세상은 '일하며 아이 키우기 좋은 세상'을 목표로 육아공백이 발생한 가정과 육아도우미(베이비시터)를 연결해 주는 맘시터를 핵심 서비스로 운영하고 있다. 지난 6월 기준 누적 134만명의 회원을 보유했다. 이외에도 △아이돌봄 지원 제도형 '맘시터Pro'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 '하이시터' △아이돌봄 전문인 양성 '맘시터 시터교육' 등을 운영하며 돌봄공백과 여성의 경력단절, 황혼육아,
2024.08.07 21: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육아스타트업 맘편한세상은 2023년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면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맘편한세상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4배 성장했다. 맘편한세상이 운영하는 아이돌봄 플랫폼 '맘시터'를 통한 돌봄거래 추산액은 2023년 2600억원에 달한다. 맘시터 플랫폼의 누적 회원수는 올해 1월 기준 130만명, 누적 매칭수는 355만건을 기록했다. 맘편한세상 관계자는 "흑자전환 배경에는 아이돌봄 산업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고, 돌봄 제공자(시터)와 수요자(부모) 간 균형점을 찾아 필요에 맞는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한 것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10월 리뉴얼 론칭한 '맘시터프로'를 통해 아이돌봄의 핵심 주체로 기업 및 지자체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마련한 것이 큰 의미가 있었다. 맘시터프로는 국내 최초 민관협력 사례인 '서
2024.02.29 19: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발표하는 '아이돌봄' 공약 중 일하는 부모들이 가장 선호하는 정책 분야는 '가정방문형 아이돌봄 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 스타트업 맘편한세상과 비즈니스 코칭 기업 인코칭은 이달 5일부터 7일까지 함께 일하는 부모 607명을 대상으로 '총선의 아이돌봄 정책 공약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맘편한세상과 인코칭은 먼저 아이돌봄 정책 공약을 △부모의 양육시간 지원 정책 △가정방문형 돌봄 정책 △기관·시설 돌봄 정책 등 3가지로 나눈 뒤 선호도를 조사했다. 설문 결과 '가정방문형 아이돌봄 정책'은 5점 만점 중 4.57점으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어 일하는 부모의 양육시간 지원 정책(4.46), 기관·시설 돌봄 정책(4.27) 순이었다. '가정방문형 아이돌봄 정책 영역' 내 세부 정책에서는 '민간 돌봄 서
2024.02.08 19: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직장인 부모 10명 중 9명이 육아복지 제도가 잘 마련된 기업으로 이직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아이돌봄 연결 플랫폼 '맘시터'를 운영하는 맘편한세상이 맘시터 부모 회원 56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육아복지 제도가 자녀를 둔 임직원의 근속 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부모의 98.4%는 기업 내 육아복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92.3%가 육아복지 제도가 잘 마련된 기업으로 이직을 고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일과 가정의 양립 어려움으로 인해 퇴사 또는 이직을 고민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81.2%를 기록했다. 재직 중인 기업에서 운영 중인 육아복지 제도(복수응답)는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74.8%)이 가장 많았다. △시차출퇴근·재택근무 등 유연근무제(47.2%) △직장 어린이집(23.1%
2023.10.26 13: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아이돌봄 연결 플랫폼 '맘시터'를 운영하는 맘편한세상이 기관 전용 플랫폼 '맘시터Pro'를 개선해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맘시터Pro는 검증된 베이비시터를 연결해 주는 기관 전용 아이돌봄 서비스다. 맘시터Pro에서 활동 자격을 부여받은 모든 베이비시터는 시터교육 인증, 등초본 인증, 실제 활동만족도 데이터 등 내부적인 검증이 이뤄진다. 아울러 의뢰기관이 제시한 자격 요건을 추가로 적용해 신뢰도를 한층 높였다. 선별된 모든 베이비시터에게는 안전사고 등을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전문인 배상책임보험을 필수로 가입하도록 전액 지원해 안전한 돌봄 환경을 제공한다. 맘시터Pro는 2021년 첫 출시 후 기업 직원들의 육아복지 증진에 기여해 왔다. 2년여 간의 운영 성과와 피드백을 바탕으로 신뢰도 높은 돌봄 관리, 자율 매칭 플랫폼의 운영 효율성을 더해 서비스를 리뉴얼했다.
2023.10.12 17: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