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IT썰] 애플, '통신사 없는 아이폰' 준비 중…위성 생태계 구축 본격화

김승한 기자 기사 입력 2025.11.10 08:01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애플의 위성 기반 긴급 SOS 기능. /사진=폰아레나
애플의 위성 기반 긴급 SOS 기능. /사진=폰아레나

애플이 단순한 긴급 구조 기능을 넘어, 아이폰에 위성 기반 메시지, 지도, 연결성 등 전방위적인 통신 기능을 탑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기적으로는 통신사 의존도를 줄이고, 자체 위성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9일(현지시간) IT(정보기술) 매체 폰아레나는 블룸버그의 마크 거먼 보도를 인용해, 애플이 수년 전부터 위성을 활용한 독자적인 통신망 구축을 준비해 왔으며, 이제는 이를 전면 확대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전했다.

거먼에 따르면 애플은 이미 약 10년 전부터 통신사를 우회한 자체 네트워크 구성을 구상해왔다. 초기 계획은 과감했지만 기술적·규제적 제약 속 2022년 아이폰14에 긴급 SOS 기능을 먼저 도입했다. 이후 애플은 도로변 지원 서비스로 기능을 확장했고, 최근에는 오프라인 문자 전송 기능까지 제공하며 사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거먼은 이는 시작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애플이 위성 통신 기술을 보다 실용적으로 발전시켜 아이폰의 핵심 연결 기능으로 정착시키려 한다고 설명했다. 향후 애플은 서드파티 앱에서도 위성 연결을 활용할 수 있도록 API(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를 공개할 계획이며, 셀룰러나 와이파이가 닿지 않는 지역에서도 애플 지도를 통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기존의 단순한 텍스트 메시지를 넘어, 사진 전송이 가능한 메시징 기능도 준비 중이다. 현재처럼 사용자가 하늘을 향해 아이폰을 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주머니나 차량 내부 등 다양한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위성과 연결되는 기술도 개발 중이다. 내년에 출시될 아이폰에는 위성 기반 5G NTN(비지상 네트워크) 지원도 포함될 전망이다.

이 같은 전략은 글로벌스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추진되고 있다. 애플은 글로벌스타의 위성 인프라 구축을 위해 수억 달러를 투자한 상태지만, 최근 글로벌스타가 매각을 검토 중이며 인수 후보로 스페이스X가 거론되고 있는 점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스페이스X는 이미 T모바일과의 협업으로 위성 통신망을 확대 중이며, 버라이즌과 AT&T도 자체 위성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내는 등 관련 업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마크 거먼은 애플의 이번 전략을 "전형적인 애플식 장기 게임"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단순한 기능 추가나 일회성 서비스가 아닌, 위성을 통해 글로벌 연결 경험을 직접 통제하고 애플 특유의 프라이버시와 디자인 철학을 유지하려는 장기적인 접근이라는 것이다.

  • 기자 사진 김승한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