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다는 '혁신적인 핀테크 기술과 빅데이터를 통해 개인이 쉽고 편리한 금융 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핀테크 기업입니다. 68개 제휴사와 협업하고 있으며 금융상품 정보 서비스 '핀다웹', 확정조건 비교대출 서비스 '핀다' 앱을 운영 중입니다. JB금융그룹과의 파트너쉽을 통해 비대면 상품, 대안 신용평가 모델 개발할 예정입니다.
핀다는 '혁신적인 핀테크 기술과 빅데이터를 통해 개인이 쉽고 편리한 금융 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핀테크 기업입니다. 68개 제휴사와 협업하고 있으며 금융상품 정보 서비스 '핀다웹', 확정조건 비교대출 서비스 '핀다' 앱을 운영 중입니다. JB금융그룹과의 파트너쉽을 통...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핀테크 기업 핀다가 스타트업 전용 AI(인공지능) 뱅킹 플랫폼 '핀다유니콘'(가칭)을 출시하며 기업 금융 시장에 도전한다고 22일 밝혔다. 핀다는 최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주관한 'AWS AI x 인더스트리 위크 2025'에서 스타트업 대표들의 재무 고민을 해결해 주는 AI 뱅킹 플랫폼 핀다유니콘의 핵심 솔루션인 'AI CFO(최고재무책임자)'를 선보인 바 있다. AI CFO는 핀다가 지난 1년 반 동안 고심하며 만들어온 신사업 핀다유니콘의 핵심 기능이다. A부터 Z까지 모든 기능이 AI 에이전트로만 구현돼 각 에이전트가 전문 업무를 분담하고 협업해 정확도를 높이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AI CFO는 AWS와 협업해 개발된 랭그래프(LangGraph) 기반 코어 에이전트 구조를 채택했다. 랭그래프는 여러 개의 AI 에이전트가 단계별로 협
2025.10.22 16: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대출 전문 핀테크 기업 핀다가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시행을 앞두고 'DSR계산기 2.0' 서비스를 개편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스트레스 DSR은 미래 금리 상승 위험을 고려해 대출자의 원리금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올 7월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으로 인해 수도권에서는 대출 한도가 줄어들 수 있다. 핀다의 서비스는 사용자 입력값을 바탕으로 3단계 스트레스 DSR 적용 전후로 대출 가능 금액을 비교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가 DSR 계산을 시도하면 현 시점 대출 가능 금액과 함께 3단계 스트레스 DSR 적용 시점인 다음달부터 줄어드는 금액을 표시해 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변화 폭을 직접 체감함으로써 지금 대출을 받아야 하는지, 더 기다려도 괜찮은지에 대한 판단을 돕는다. 사용자는 예상하는 금리나 선호하는 상환
2025.06.06 12: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핀테크 기업 핀다가 AI(인공지능) 기반 대출 비교 플랫폼을 통해 관리하는 대출 금액의 총합이 120조원에 달한다고 7일 밝혔다. 지난달 말 기준 대출 관리 금액은 119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4분기 전체 가계대출이 1800조원인 것을 감안하면, 국내 전체 가계대출의 7% 수준을 핀다가 관리하는 셈이다. 대출 관리 서비스가 출시된 2020년 12월부터 현재까지 누적 금액은 274조원이 넘는다. 핀다는 다양한 입출금 및 대출 계좌를 보유한 복잡한 현금흐름을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한 UX·UI(사용자환경)를 제공한다. 지출 예정 금액과 보유 현금 내역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나갈 돈'과 '쓸 수 있는 현금' 기능을 통해 현금흐름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핀다에서 대출을 관리하는 사용자들의 인당 평균 대출 개수는 3.5개이며, 인당 평균 대출금액은 약 3634만원
2025.05.07 22: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대출 전문 핀테크 기업 핀다가 AI(인공지능)를 기반으로 대출 상품의 금리 변동 가능성을 알려주는 '금리 변동 예상 알림 서비스' 이용자를 출시 두 달 만에 10만명 확보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핀다 앱을 통해 한도조회한 대출 상품의 금리 변동 가능성이 생겨 대출 조건 가능성이 좋아질 때 AI가 이를 감지해 사용자에게 앱 푸시를 통해 알려준다. 대출 금리 변동 시점을 정확히 알기 어려운 사용자를 위해 마련됐다. 핀다에 따르면 해당 서비스를 통해 더 좋은 조건으로 대출 약정까지 마친 사용자들은 기존에 한도조회를 했던 조건보다 평균 1.40%p 낮은 금리의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평균 1241만원 한도로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한도조회 결과보다 4.56%p 낮은 금리의 대출을 받은 사용자도 있었다. 기존 조회 시 최저 금리가 17
2024.11.21 11: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대출 중개·관리 핀테크 기업 핀다가 전북은행과 손잡고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라인업을 강화했다고 6일 밝혔다. 핀다는 전북은행의 100%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상품인 'JB우리집대출'을 선보였다. 최저 금리는 연 4.32%, 최대 한도는 10억 원으로 대출기간은 최소 5년부터 최장 40년(거치기간 최대 1년)까지다.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필요 서류를 팩스로 전송할 필요 없이 모바일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핀다는 은행 주담대 상품을 연달아 선보이며 비대면 주담대 사용자들의 선택권을 빠르게 넓히고 있다. 핀다는 지난달 26일 광주은행에 이어 이번 전북은행 입점까지 포함하면 핀다의 주택담보대출 제휴사는 총 10곳으로 늘어난다. 핀다가 올해 말 시행을 목표로 하는 정부 주도의 주택담보 대환대출 인프라 서비스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 주담대 상품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2023.11.06 16: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