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는 온라인 패션 플랫폼으로 스트릿, 글로벌 명품, 디자이너 등 5천여 개 브랜드가 입점한 무신사 스토어를 운영합니다. 2019년 유니콘 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2021년 홍대를 시작으로 성수, 대구 등 지역에 자체 브랜드 '무신사 스탠다드' 매장과 150여 개의 브랜드가 입점된 오프라인 편집숍을 오픈하여 남성 의류와 여성 의류, 잡화 등을 판매하며 오프라인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였습니다.
무신사는 온라인 패션 플랫폼으로 스트릿, 글로벌 명품, 디자이너 등 5천여 개 브랜드가 입점한 무신사 스토어를 운영합니다. 2019년 유니콘 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2021년 홍대를 시작으로 성수, 대구 등 지역에 자체 브랜드 '무신사 스탠다드' 매장과 150여 개의 브랜드가 입점된 오프라인 편집숍을 오픈...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오프라인 매장 확장과 뷰티 사업 강화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옴니채널 전략을 통해 상장 전 매출과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무신사의 자회사 29CM는 지난 6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자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이구어퍼스트로피(29')'의 첫 오프라인 매장을 열었다. 이 브랜드는 디퓨저, 바디·핸드케어 등 향을 매개로 한 상품을 선보이며 인기를 끌고 있다. 29CM는 지난달에도 성수동에 첫 아동복 편집숍 '이구키즈 성수(29CM KIDS SEONGSU)'를 열었다. 키즈 매장은 부모와 아이의 취향이 만나는 공간을 콘셉트로 25세~39세 젊은 부모층을 적극 공략한다. 무신사는 성수동을 중심으로 현재 6개의 패션·뷰티·라이프스타일 매장을 운영 중이다. 내년 상반기엔 지하 1층~지상 4층, 총 2000평 규모의 초대형 편집숍 '무신사 메가스토어 성수'를 선보일 예정
2025.09.08 10:40:24국내 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기업공개(IPO)를 위해 조만간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배포한다. 이르면 내년 증시에 상장하는 것이 목표인데, 시장에서는 시가총액이 최대 10조원에 이를 것으로 본다. 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무신사는 최근 국내 대형 증권사들과 개별로 기업설명회(IR)를 가졌다. IPO를 위한 RFP 배포에 앞서 가지는 사전 절차로, 이번주까지 일정이 계속된다. RFP 완성도를 높여 상장으로 직행하기 위한 밑작업으로 보인다. 무신사는 국내 코스피나 코스닥뿐 아니라 미국 나스닥 상장까지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IR에 참여한 일부 증권사에 따르면 설명회에서 무신사는 상장이나 기업가치에 관한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고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피력했다. RFP를 조만간 배포하겠다고도 했다. 무신사가 증권사에 RFP 발송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증권사들이 입찰 제안에 참여하고 심사를 거쳐 주관사를 선정하는 데까지만 2주에서 한달 정도 소요된다.
2025.08.14 11:24:19[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왕십리에 있는 '서울숲 더샵' 인수를 추진한다. 사실상 본사 이전으로 근무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 차원으로 알려졌다. 28일 국토교통부와 부동산 투자 업계에 따르면 무신사는 왕십리역 인근에 있는 서울숲 더샵(왕십리로 241) 인수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무신사는 현재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복수의 건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분산된 임직원을 한데 모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인수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무신사는 서울숲 더샵 내에 상업시설 중에서 오피스용 매물을 인수하기 위해 포스코건설과 협상 중이다. 인수 추진 가액은 약 1160억 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무신사는 지난 2022년 강남구 신사동에서 성동구 성수동으로 법인 등기상 본사를 이전한 바 있다. 이후 임직원 수가 크게 늘어 현재는 성수동 내에 여러 오피스에 본사 및 계열사
2024.08.28 11:36:59[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지난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성과를 정리한 '2024 무신사 임팩트 리포트'를 19일 발간한다. 무신사가 임직원 외에 외부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리포트를 발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 부문은 온실가스 관리 체계 수립과 환경 펀드 투자 등 기후 변화 대응 활동, 자원순환을 통한 환경 영향 최소화 노력, 친환경 오피스 구축, 고객과 임직원이 참여하는 친환경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또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 전문관 '무신사 어스'와 컨셔스 라이프스타일 채널 'CQR'의 활동 콘텐츠를 수록했다. 특히 무신사는 이번 리포트를 통해 국내 패션 플랫폼 최초로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해 적정성 검증을 마친 현황을 공개했다. 사회 부문에선 입점 브랜드와 동반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2024.07.19 11:21:32[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시장 공략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 패션 플랫폼이 배송·품질·콘텐츠 등 강점을 내세우며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특히 최근 무신사는 패션 플랫폼 최초로 모바일 앱 설치 규모를 나타내는 '활성 기기' 1000만대를 기록하며 C-커머스 공세 속에서 두드러지는 존재감을 보인다. 무신사가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 INSIGHT'를 조사한 결과 지난달 기준 무신사 모바일 앱 활성 기기는 약 1022만 대로 집계됐다. 이는 양대 모바일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Android)와 애플의 iOS에서 무신사 앱이 설치된 기기를 집계한 것이다. 무신사는 고객 저변을 다양화하기 위해 다양한 패션 브랜드와 카테고리 영역에서 △뷰티 △부티크(럭셔리) △키즈(유·아동) △플레이어(스포츠) 등의 전
2024.07.12 08:5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