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마트컴퍼니는 언제 어디서나 전문 상담사와 상담이 가능한 서비스, 빅데이터와 IT기술을 적용해 정신건강에 대한 체계적 진단과 심리상담 및 치료를 다루는 멘탈헬스케어 전문 기업입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 스타트업 소프트리에이아이(SoftlyAI)는 멘탈케어 플랫폼 기업 휴마트컴퍼니와 멘탈케어용 AI 챗봇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소프트리에이아이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회사의 생성형 AI 기술을 휴마트컴퍼니의 심리 상담 애플리케이션 '트로스트(Trost)'에 결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두 회사는 멘탈케어에 최적화된 AI 챗봇 개발과 개인화된 멘탈케어 서비스 제공, 데이터 보안 및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 등에 상호 협력한다. 소프트리에이아이는 구글 박사(PhD) 펠로우십을 수상한 박성준 대표가 지난해 설립한 자연어처리(NLP) 기반 AI 기술 스타트업이다. 자체 개발한 검색 AI 모델을 토대로 고객사의 활용 목적에 적합한 데이터를 참고해 텍스트를 생성하는 AI 기반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한다.
2023.07.18 09:30:00멘탈 헬스케어 앱 '트로스트'를 운영하는 휴마트컴퍼니가 '투자용 기술신용평가(Tech Credit Bureau, TCB)'에서 기술 최우수 등급 중 하나인 'TI-2' 등급을 획득했다고 16일 밝혔다. TCB 등급은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 경영역량 등 4개 항목을 종합 평가해 기업을 총 10등급으로 분류한다. 최상위 기술 기업(T1~T2), 상위 기술 기업(T3~T4), 보통 기술 기업(T5~T6) 등으로 나뉜다. TI-4 등급부터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요건에 해당한다. 2016년 설립된 휴마트컴퍼니는 정신건강을 관리하는 모바일 종합 솔루션으로 트로스트를 운영하고 있다. 트로스트는 일상에서 겪는 상황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한다. 앱에 있는 여러 심리 솔루션 중 각자의 상황에 맞는 해결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에는 B2B 멘탈케어 구독 서비스 '트로스트케어'를 출시했다.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도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과 같은 멘탈케어 복지를 도입할 수 있도록 비용적인 진입 장벽을 낮췄
2022.11.16 15:50:47멘탈헬스케어 IT 기업 휴마트컴퍼니가 자사 멘탈케어 앱 '트로스트(Trost)'의 새 브랜드 모델로 Z세대 크리에이터 '조닭발(본명 조서연)'을 발탁했다고 5일 밝혔다. '조닭발'은 틱톡 팔로워 34만명을 보유하고 유튜브, 인스타그램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는 19살의 Z세대 크리에이터다. 밝은 에너지와 뛰어난 노래 실력, 생동감 있는 모습으로 MZ세대 내 이슈가 되는 밈(meme), 노래, 댄스, 코미디, 일상, 요리 등 다양한 콘텐츠를 자신만의 색깔로 소화해, 많은 팬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빠르게 인기를 끌고 있다. 휴마트컴퍼니는 지난 7월 29일부터 8월 2일까지 틱톡 자사 계정에서 트로스트 브랜드 모델 모집 이벤트를 열고, 틱톡 이용자들의 추천과 브랜드 심사를 거쳐 '조닭발'을 모델로 선정했다. 휴마트컴퍼니는 브랜드 심사 기준에 대해 "내 감정, 내 방식으로" 트로스트 브랜드 메시지와 "에너지, 자유로움, 즐거움" 브랜드 키워드에 부합하는지, MZ세대에게 멘탈케어에 관한 다양한 이
2022.09.05 09:57:26“코로나19(COVID-19) 유행 이후 30~40대 남성의 정신건강 전화상담 고객이 확연히 늘었습니다. 고민 키워드로는 분노, 트라우마, 상실 등이 10% 정도 늘었습니다.” 김동현 휴마트컴퍼니 대표(30·사진)는 최근 머니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코로나19 이후 심리상담 앱(애플리케이션) ‘트로스트’를 이용하는 고객의 변화를 이같이 밝혔다. 이유는 복합적이겠지만 코로나19로 언택트(비대면)가 강화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했다. 김 대표가 2016년 창업한 휴마트컴퍼니는 모바일로 정신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트로스트는 심리상담을 받고 싶은 사람들이 한국상담심리학회 또는 한국상담학회 자격증을 보유한 상담사들과 비대면으로 만날 수 있게 해준다. 현재 등록된 상담사는 140명이며 이중 80여명이 실제 활동한다. 이용자는 고민 키워드에 따라 추천된 심리상담사 중 경력, 학력, 리뷰 등을 확인한 후 선택할 수 있다. 1회당 50분 정도 텍스트(채팅) 또는 전화로 대화를 나누며
2022.08.21 14:4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