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하유는 AI 서류 검토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하는 IT기업입니다. AI 표절 검사기 "카피킬러"를 개발하였으며 자기소개 AI 평가 서비스 "프리즘", 대화형 AI 면접 서비스 "몬스터"를 개발하여 운영합니다. 한국 이외에도 일본으로 진출하였으며 추후 중국 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인공지능) 기반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운영하는 무하유가 일본 도쿄에 법인을 설립하고 일본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고 27일 밝혔다. 무하유 관계자는 "보수적인 교육과 기업 문화로 유명한 일본에서 AI 기반 문서검사 및 채용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며 "일본 법인 설립은 생성형 AI의 확산으로 문서 표절 및 부정행위 검출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증가함에 따른 것"이라고 했다. 무하유는 2020년부터 일본에서 카피모니터를 운영해왔다. 카피모니터는 카피킬러의 일본어 현지화 버전이다. 일본어의 언어적 특성을 반영한 AI 분석 모델을 탑재했다. 생성형 AI 탐지 기능인 'GPT킬러'도 탑재해 표절 검사와 AI 작성 여부 판별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무하유는 지난 3년간 일본 현지 파트너와 협업해 메이지대학 등 일본 내 유수 교육기관을 고객으로 확
2025.08.27 1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인공지능) 기반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운영하는 무하유가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 규격인 'ISO 9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국제표준화 기구(ISO)에서 제정한 ISO 9001 인증 획득은 고객에게 제공되는 제품 및 서비스가 규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지속적으로 유지관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ISO 인증 이후에는 품질경영시스템의 유지 관리에 대해 매년 사후관리·심사를 받아야 한다. 무하유의 카피킬러는 100억건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문서의 표절, 출처 미표기, 중복 게재 등 사람이 일일이 파악하기 힘든 검토 작업을 AI 기술로 1분 안에 빠르게 수행한다. 현재 공기관, 학교, 기업 등 3485곳에서 약 1000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카피킬러는 기존의 표절 검사 기능에 더해 생성형 AI가 작성했을 가능성이 있는 문장을 판별하는 기능
2025.07.23 17: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인공지능) 기반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운영하는 무하유가 AI 면접·역량검사 솔루션 '몬스터'의 역량검사 기능을 업데이트했다고 11일 밝혔다. 몬스터 역량검사는 인성, 메타인지, 직무매칭률, 직무의지, 부적응 가능성, 직업 가치관 등을 종합 진단하는 문항들을 통해 지원자의 역량 수준을 파악한다. 실제 업무 현장에서 만날 수 있는 현실적인 부적응 행위를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조직 부적응 가능성을 파악하는 기준이 더욱 세분화됐다. 기존에는 자기과시, 냉담·비정함, 반사회성과 같은 항목으로 결과가 제공됐지만 권위주의적 태도나 뒷담화 가능성 등 입사 후 어떻게 행동할지 예측할 수 있도록 평가 기준을 구체화했다. 몬스터 역량검사는 조직 내 문제를 일으키는 부적응 유형을 갈등 유발 가능성, 불성실 근무 가능성, 조기 퇴사 가능성의 세
2024.10.11 11: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인공지능) 기반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운영하는 무하유가 'K-에듀테크 콘테스트'에서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콘테스트는 교육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2024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와 연계해 진행되고 있다. 첨단 기술력을 적용한 교육 관련 제품을 발굴하기 위한 사업으로, 제품 우수성과 교육 현장 활용성에 중점을 두고 심사가 이뤄진다. 무하유는 'GPT킬러'를 통해 이번 수상을 했다. GPT킬러는 생성형 AI가 쓴 문장을 탐지하는 디텍트 GPT 솔루션으로, AI가 문단 단위로 문서를 쪼갠 뒤 챗GPT로 작성됐을 확률을 분석한다. 무하유가 지난 13년간 카피킬러를 운영하며 축적해 온 문서 데이터와 한국어 자연어 이해(NLU) 기술이 접목됐다. 생성형 AI의 사용을 막는 것이 아닌 무분별한 활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2024.09.26 0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반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운영하는 무하유가 2026년 상반기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하고 미래에셋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무하유는 2011년부터 카피킬러를 운영하며 독자적인 자연어 이해(NLU) 노하우를 고도화해 왔다. 카피킬러는 △표절 △출처 미표기 △중복 게재 등 사람이 하나하나 파악하기 힘든 작업을 AI 기술을 이용해 빠르게 검토해 주는 솔루션이다. 현재 국내 4년제 대학의 96%가 카피킬러를 도입해 활용 중이며, 공기관·학교·연구원·사기업 등 3485개 기관에서 약 1000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에는 생성형 AI로 작성한 문장을 찾아내는 'GPT킬러'를 출시했다. 가장 최신의 챗GPT 버전인 GPT-4o에서 생성한 문장까지 탐지하며 정확도는 95% 이상이다. 인재관리(HR) 영역으로도 사업을 확
2024.07.02 15: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