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중소벤처기업부는 2일 올해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이하 DCP) 사업을 통해 지원할 프로젝트를 선정하기 위해 정책지정 연구개발 제안서(이하 RFP) 11개를 추가로 공개했다.
DCP는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대규모 프로젝트형 R&D(연구개발) 사업으로, 벤처캐피탈(VC) 등의 민간투자를 포함해 최대 100억원까지 지원한다. 중기부는 앞서 4월 RFP 23개를 공개한 데 이어 이날 11개를 추가 공개했다. 중기부는 수행기업을 공개모집, 최종 지원대상을 확정하고 총 20개의 프로젝트를 지원할 계획이다.
추가된 11개 RFP에는 차세대 반도체 공정용 스캔형 고속 레이저 어닐링 장비 기술 개발, 퇴행성 뇌질환 치료와 염증 제어가 동시에 가능한 항체 융합 단백질 플랫폼 기술 개발, AI 기반 전기차 폐배터리팩 자동 해체 기술 개발 등이 있다.
차세대 청정수소 생산시스템, 나노소재를 활용한 고기능성 식물재배시스템 구축, 선박 안전운항을 위한 상황인식 시스템 등도 포함했다. 이번 11개 과제는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등 딥테크 분야에 대해 VC, 연구소, 기업 등으로부터 조사한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전문가 검토를 거쳤다.
DCP는 민간투자와 연계하는 팁스(TIPS)방식의 R&D 프로그램으로 정부가 지정하는 전략과제에 중소기업, 투자사, 연구기관 등이 '프로젝트팀'을 결성하여 신청하는 방식이다. 프로젝트 팀 구성, 최소 수행자금 20억원 확보 등의 요건을 갖춘 기업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을 통해 상시 신청할 수 있다. 34개 RFP의 상세 내용은 온라인 '전략기술은행'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용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역량을 갖춘 우리 중소·벤처기업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끊임없이 최첨단 기술에 도전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