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민간 중심 '스코펀', 6400억 자펀드 조성…초격차·오픈이노 투자

고석용 기자 기사 입력 2025.08.29 06: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자료=중소벤처기업부
자료=중소벤처기업부
대·중견기업, 금융권 등 민간 중심으로 조성하는 벤처 모펀드인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스코펀)'가 64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9일 '스코펀'의 자펀드 선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스코펀은 민간기업과 정부 모태펀드가 자금을 출자해 모펀드를 만들고, 이를 통해 자펀드를 만들어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펀드다. 딥테크 스타트업 성장과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를 위해 2024년부터 조성하고 있다.

올해는 27개 민간 출자자가 2488억원을, 모태펀드는 1716억원을 각각 출자해 4200억원 규모의 모펀드를 결성했다. 중기부는 이 펀드 자금을 토대로 총 6401억원 규모의 자펀드 22개를 결성하기로 하고 운용사(GP)를 선정했다. 지난해 결성된 자펀드(총 8733억) 규모보다는 소폭 감소했다.

분야별로 △초격차·글로벌 2625억원 △오픈이노베이션 분야 2170억원 △세컨더리 분야 1606억원 규모다. 특히 '오픈이노베이션' 분야에는 9개 자펀드가 조성돼 뷰티·바이오·반도체·기후테크·AI(인공지능) 등 미래 성장을 이끌 전략 분야에서 개방형 혁신을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중기부는 스코펀이 민간자금의 벤처투자 마중물로 효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해 스코펀에 참여한 27개 민간 출자자 가운데 코스맥스 (219,000원 0.00%), 성균관대학교기술지주회사 등 8곳은 스코펀을 계기로 최초로 벤처펀드 출자에 나섰다. 과거 출자 경험이 있는 19개 기관도 지난해보다 출자 규모를 늘렸다. 세부적으로 일반법인 14곳은 전년 대비 7배, 금융기관 5곳은 전년 대비 46% 출자를 확대했다.

해외기업이 출자에 참여한 것도 특징이다. 도쿄세경센터와 재일 동포기업 및 한일협력기업연합이 고국의 벤처·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참여했고 일본 최대 CRO(임상시험수탁) 기업인 CMIC도 국내 바이오 벤처·스타트업과의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나섰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국내 벤처투자 생태계가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민간자금의 벤처투자 참여를 끌어내야 한다"며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처럼 모태펀드가 벤처투자 플랫폼으로서 보다 많은 기관의 벤처투자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과감한 출자에 나설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제도 개선도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스타트업코리아펀드' 기업 주요 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