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스타트업도 자영업도…경기침체, 4년 연속 창업 줄었다

고석용 기자 기사 입력 2025.08.28 06: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올해 상반기 창업한 스타트업이 10만8096개로 전년 대비 3.1%(3481개) 감소했다. 4년 연속 감소세다.

스타트업이 아닌 자영업 등의 창업도 4년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투자위축이 창업 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8일 공개한 '2025년 상반기(1~6월)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스타트업으로 분류되는 기술기반 창업은 상반기 기준 △2021년 12만2444개 △2022년 12만1289개 △2023년 11만5735개 △2024년 11만1577개로 지속 감소했다. 기술 기반 창업은 OECD와 EU 기준에 따라 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종 창업을 말한다.

특히 제조업 창업이 크게 위축됐다. 이 기간 제조업 창업은 1만6324개로 전년동기대비 11.2% 감소했다. 2021년과 비교하면 26.0% 감소한 규모다. 그밖에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0.0%),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5.5%) 등이 감소했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은 2만7556개가 창업되며 전년동기대비 1.7% 증가했다. 중기부는 온라인 유통 활성화에 따른 광고 대행업, 디지털전환 확대에 따른 전문기술 관련 경영컨설팅 창업이 활성화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중에서도 개인 창업은 2.7%증가, 법인 창업은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 창업도 8% 감소…하반기 분위기 전환 있을까


7월 6일 서울 한 종합상가 점포 앞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뉴시스
7월 6일 서울 한 종합상가 점포 앞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뉴시스
자영업을 포함한 전체 창업은 57만4401개로 전년동기대비 7.8%(4만8359개)가 감소했다. 특히 생계형 창업으로 평가받는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의 창업이 줄었다. 도·소매업 창업은 20만7595개로 8.1%(1만8301개) 감소했고, 숙박·음식점업 창업은 6만9564개로 14.7%(1만1955개) 감소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소비 위축과 온라인 구매마저 부진해지면서 도·소매업 창업이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와 2분기 소매판매액지수는 각각 전년동기대비 0.3%, 0.2%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도 외식산업 경기침체, 카페 시장 경쟁 심화 등의 영향을 받아 감소세를 피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1분기와 2분기 외식산업경기동향지수를 각각 70.76, 72.76이라고 집계했다. 100을 기준으로 100에 못 미치면 산업 위축을 의미하는 지표다.

연령대별로는 30세 미만의 창업이 가장 크게(-14.0%) 줄었다. 이어 30대(-8.2%), 40대(-7.8%), 50대(-7.7%) 순이었다. 60세 이상 창업은 3.3%만 줄면서 상대적으로 적게 감소했다.

한편 비상계엄과 탄핵으로 인한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하반기에는 분위기가 반전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월별로 보면 정치 불확실성이 컸던 올 1월의 창업이 가장 크게(-27.0%) 줄었고 대선이 있던 6월에는 증가(+1.1%)한 것으로 나타났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