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시리에 팔·얼굴 붙인다? 애플의 AI 역전 승부수

김종훈 기자 기사 입력 2025.08.14 16:36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음성비서 시리, 로봇 팔 달린 '테이블톱 로봇'에 탑재

미국 뉴욕 시에 위치한 애플스토어 전경./로이터=뉴스1
미국 뉴욕 시에 위치한 애플스토어 전경./로이터=뉴스1

애플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아이패드 형태의 테이블톱 로봇을 개발해 2027년 출시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음성비서 '시리'(Siri)도 인간 비서처럼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완전 개편하겠다는 목표다.

블룸버그통신은 익명의 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이날 보도한 기사에서 애플이 테이블톱 로봇을 통해 AI(인공지능) 기기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이 개발 중인 테이블톱 로봇은 이름처럼 탁자 위에 올려두거나 벽에 붙여 쓰는 형태로 디자인됐다. 전동 팔 하나가 아이패드 미니 정도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데, 로봇은 이 디스플레이를 스스로 움직여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다. 애플은 사용자가 이 로봇을 책상이나 주방 조리대에 놓고 집안일과 업무를 하는 청사진을 그렸다고 한다.

애플 테이블톱 로봇의 핵심은 음성비서 시리다. 시리는 오픈AI의 챗GPT처럼 음성으로 인간과 직접 대화하고,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추천할 수 있는 수준으로 완전 개편될 예정이다. 블룸버그는 "애플의 목표는 (시리가) 마치 방 안에 같이 있는 사람처럼 행동하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예를 들어 친구끼리 저녁 식사를 어떻게 할지 대화 중이었다고 하면, 시리가 대화를 듣고 주변 식당이나 메뉴를 추천해주는 식이다. 여행 계획이나 업무 처리를 위한 회의 자리에서도 의견을 낼 수 있다고 한다.

시리 개편을 위해 애플 엔지니어들은 대규모언어처리모델(LLM)을 기반으로 한 AI '린우드'를 개발 중이다. 애플 내부에서 이는 LLM 시리라고도 불리는데 내년 봄쯤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외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글렌우드'라는 AI 개발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 중이다. 린우드와 글렌우드를 경쟁시키겠다는 취지인데, 올해 초 시리 개발 책임자로 부임한 마이크 록웰이 두 프로젝트를 감독하고 있다.

애플 맥에서 기능하는 파일 탐색 프로그램 '파인더'의 아이콘/사진=애플 홈페이지 갈무리
애플 맥에서 기능하는 파일 탐색 프로그램 '파인더'의 아이콘/사진=애플 홈페이지 갈무리

시리에게 얼굴이 생길 수도 있다. 그동안 시리는 주로 빛나는 구슬 형태의 아이콘으로 표현됐는데, 애플 개발진은 시리에게 붙일 사람 얼굴 형태의 애니메이션을 제작 중이다. 애플 맥북에서 파일을 찾아주는 프로그램 '파인더'의 아이콘이나 애플 기기 사용자 프로필에 쓰이는 이모티콘 '메모지'가 시리의 얼굴로 제작될 수 있다고 한다. 새 시리가 테이블톱 로봇에 탑재된다면 집안 어디서든 말하는 것만으로 AI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애플은 내년 중반쯤 스마트 디스플레이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테이블톱 로봇처럼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전동 팔과 대화형 시리 기능은 빠질 예정이지만 집안 전자기기 제어와 음악 재생, 웹 브라우징, 화상 전화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현재 개발 중인 테이블톱 로봇의 저사양 버전으로 보면 된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현재 사용자의 얼굴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맞춤 기능을 제안하는 '카리스마틱'이다. 카리스마틱은 테이블톱 로봇에도 탑재될 예정이라고 한다.

애플 개발진은 가정이 아닌 사업장에서 인간 업무를 일부 대신할 로봇도 개발 중이다. 이 로봇에는 대형 기계 팔이 부착될 예정이다. 정확한 출시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 이외에 집안에서 가족 구성원의 얼굴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조명과 배경음악을 조절하는 스마트 카메라와 안면인식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서비스도 개발 중이다.

'애플' 기업 주요 기사

  • 기자 사진 김종훈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