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도시인·농가' 모두 잡으니…대기업도 반한 '자연 체험' 플랫폼

고석용 기자 기사 입력 2025.08.15 13: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스타트UP스토리]홍인기 로컬앤라이프 대표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홍인기 로컬앤라이프 대표 /사진제공=로컬앤라이프
홍인기 로컬앤라이프 대표 /사진제공=로컬앤라이프
"많은 사람들이 주말만큼은 도시를 벗어나 자연에 가고 싶어 해요. 특히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더 하죠. 하지만 어디를 가야 할지 몰라 결국 실내 쇼핑몰을 찾죠. 아이랑은 키즈카페만 가게 되고요." 이런 고민에서 출발한 서비스가 있다. 스타트업 로컬앤라이프가 운영하는 자연 체험상품 플랫폼 '프루떼'다.

프루떼는 과일 따기, 동물 먹이 주기, 팜크닉, 흙 놀이터, 요리·공예 학습 등 자연 체험상품을 소개하고 예약·결제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자연 체험상품에 특화된 '야놀자', '여기어때'인 셈이다. 아이들을 위한 자연 체험상품 플랫폼에서 시작했지만, 최근에는 전 세대를 위한 상품들을 제공한다.

홍인기 로컬앤라이프 대표는 "2030세대가 데이트할 때나 5060세대가 친목 모임을 가질 때도 자연 체험상품을 찾더라"며 "이에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프루떼에는 150여곳, 300개 이상의 상품들이 등록돼있다.


재방문율18%·농가이탈 0%…"지역문제 해결" 평가도


프루떼에서 제공하는 자연 체험 상품들 /사진=프루떼 판매페이지 캡처
프루떼에서 제공하는 자연 체험 상품들 /사진=프루떼 판매페이지 캡처
홍 대표는 "지난해 6000여명이 방문했는데 재방문율이 18%를 넘겼다"고 강조했다. 그만큼 자연 체험상품에 대한 수요층이 확실하고, 만족도도 높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자연 체험이 캠핑처럼 일상적인 여행 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을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 대표가 꼽은 높은 재방문율의 배경은 상품의 차별성이다. 경쟁 플랫폼이나 범용 여행 플랫폼들이 이미 운영되고 있는 상품들을 기계적으로 입점시키는 것과 달리, 프루떼는 체험상품을 입점한 뒤 예약관리, 고객서비스(CS) 등을 대행한다. 농가들이 현장 운영에만 집중하도록 해 체험상품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직접 체험상품을 발굴·기획하는 것도 상품의 질을 높인 배경이다. 홍 대표는 "농가에서 체험상품을 만들고 싶어도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이런 농가의 경우 직접 상품을 기획해 만들어주기도 한다"고 했다. 그 덕에 프루떼에 입점한 농가의 만족도는 상당하다. 홍 대표는 "현재까지 입점했다가 불만을 갖고 이탈한 사례는 0%에 가깝다"고 말했다.

로컬앤라이프는 농가와의 상생을 돕는다는 평가를 받으며 최근 소셜벤처기업으로 지정됐다. 현대자동차 등 일부 대기업도 임직원들이 프루떼에서 체험 상품을 구매하는 게 사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며 복지상품으로 프루떼를 추가했다. 로컬앤라이프는 앞으로 현대차처럼 임직원 복지와 제휴할 기업들을 확대하는 B2B(기업간거래)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마흔 앞두고 창업 결심…'여행·자연' 취미 살려 맨땅 헤딩


로컬앤라이프 개요/그래픽=임종철
로컬앤라이프 개요/그래픽=임종철
홍 대표는 원래 반도체 회사의 생산관리 엔지니어였다. 산업공학을 전공하고 외국계 반도체 패키징 회사에서 11년을 일했다. 그러나 마흔을 앞두고 커리어를 바꿔야겠다는 결심을 세웠다. 지금이 아니면 커리어를 바꿀 수 없다는 생각이었다.

사업 아이템으로 자연 체험상품 플랫폼을 정한 건 여행을 좋아하는 취미 덕분이었다. 퇴사 후 여행을 떠났던 이탈리아의 '슬로시티(Slow City)' 발상지 오르비에토에서의 경험도 영향을 미쳤다. 자연환경, 여유로운 삶의 문화를 우리나라에서도 경험하게 만들고 싶었다.

사실 초기 운영은 쉽지 않았다. 좋아하는 일이었지만 경력이나 네트워크가 없었기 때문이다. 농가를 찾아가서 체험상품 기획을 제안하면 다들 사기꾼이라고 보기 일쑤였다. 그래도 맨땅에 헤딩밖에 답이 없었다. 그렇게 충남 예산의 한 사과 농가가 첫 파트너가 됐고 만족한 농가가 서로를 소개해주며 한 달에 하나씩 상품이 늘어났다.

홍 대표는 앞으로 직영 체험상품을 늘리고, 농가의 체험상품 기반 생산물을 유통까지 하는 커머스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홍 대표는 "더 많은 사람들이 자연이 주는 즐거움을 느끼고, 더 많은 농가가 이를 기반으로 수익을 낼 수 있게 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확장해나가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로컬앤라이프  
  • 사업분야엔터∙라이프스타일
  • 활용기술기타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