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비가 사려다 실패한' SW 업체, 상장 첫날 250% 폭등

정혜인 기자 기사 입력 2025.08.01 10:54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피그마, 뉴욕증시서 공모가 3배 넘는 115.50달러 마감…
"10억$ 이상 조달 상장 기업 중 30년래 최대 당일 상승률"

딜런 필드 피그마 CEO(최고경영자) 겸 공동창업자(가운데)가 7월3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열린 피그마의 기업공개(IPO)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블룸버그
딜런 필드 피그마 CEO(최고경영자) 겸 공동창업자(가운데)가 7월3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열린 피그마의 기업공개(IPO)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블룸버그
미국 디자인소프트웨어(SW)업체 피그마(Figma)가 기업공개(IPO) 첫날 250% 폭등이라는 새로운 기록을 쓰며 뉴욕증시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피그마는 이날 뉴욕증시에서 공모가(33달러) 2배를 훌쩍 넘는 85달러로 거래를 시작해 115.50달러 거래를 마쳐 공모가 대비 250% 폭등했다. 이는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 이상 자금을 조달한 미국 상장 기업 중 30년 이내 가장 큰 상장 당일 상승률이라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정규장 마감 후 시간 외 거래에서도 24% 이상 올라 상장 하루 만에 주가가 주당 30달러대에서 140달러대까지 치솟았다. 피그마의 최초 공모가는 주당 25~28달러로 산정했지만, 이후 30~32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다 전날 기관들을 중심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최종 공모가는 33달러가 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피그마 공모주는 최종적으로 40배 이상 초과 청약됐고, 주문의 절반 이상이 주식을 배정받지 못했다고 한다.

시가총액은 195억달러에서 563억달러로 뛰었다. 직원들의 스톡옵션, 딜런 필드 최고경영자(CEO)에게 부여된 조건부 지분 등을 반영한 완전 희석 시가총액(FDV)은 677억달러다. 이는 '포토샵' 회사로 알려진 어도비가 2022년 피그마 인수를 추진했을 당시의 평가액 200억달러의 3배 이상에 달하는 수준이다.

어도비의 피그마 인수 계획은 2023년 EU(유럽연합)와 영국의 반독점 규제로 무산됐다. 뉴욕타임스는 "200억달러 규모의 매각인 무산됐던 스타트업(피그마)이 다시 반격에 나섰고, 회사 가치는 3배 이상 높아졌다"고 전했다. 어도비의 인수 계획 무산이 피그마에 오히려 기회가 된 꼴이다.

피그마의 뉴욕증시 상장 첫날인 7월31일(현지시간) 주가 추이 /사진=블룸버그
피그마의 뉴욕증시 상장 첫날인 7월31일(현지시간) 주가 추이 /사진=블룸버그
피그마는 이번 IPO로 12억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했고, 조달한 자금은 직원 주식 매각과 관련된 세금 부담을 해결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피그마는 지난해 직원 주식 매각 관련 세금 비용으로 7억32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한 2억2800만달러이고, 순이익은 4500만달러다.

피그마는 2012년 브라운대에서 컴퓨터공학을 공부하던 딜런 필드와 에반 월리스가 공동 창업한 회사로, 디자이너·개발자 등 여러 사용자가 함께 웹사이트와 앱(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는 온라인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구글 문서에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댓글을 달며 협업하는 것처럼, 피그마 플랫폼에서도 실시간 공동작업이 가능하다. 사용자 수와 사용자 유형에 따라 요금을 부과해 수익을 내고 있고, 최근에는 회사 도구 전반에 AI(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했다.

필드 CEO와 월리스 공동창업자의 자산가치는 이번 상장으로 각각 61억달러, 31억달러로 늘어 억만장자 대열에 합류하게 됐다. 피그마 CTO(최고기술책임자)였던 월리스 공동창업자는 2021년 회사를 떠났다. 하지만 그는 현재 지분율 5%로, 필드 CEO에 이어 두 번째 최대 주주다.

한편 외신은 피그마의 이번 상장이 미국 IPO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했다. WSJ은 "피그마 상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이런 뜨거운 반응은 미국 IPO 시장의 회복세에 힘을 실어주며 올가을 더 많은 IPO가 이어질 것임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기자 사진 정혜인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