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생태계 확산 나선 개보위, '기업 지원부터 플랫폼 구축까지'

이찬종 기자 기사 입력 2025.07.30 12: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5월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마이데이터 선도서비스 시연회에서 담당 관계자의 병원 관련 선도서비스 사업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뉴시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5월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마이데이터 선도서비스 시연회에서 담당 관계자의 병원 관련 선도서비스 사업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뉴시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마이데이터 생태계 확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개인정보위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25년 마이데이터 서비스' 지원사업으로 5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마이데이터 서비스 지원사업은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에 기반한 국민 체감형 마이데이터 서비스 확산을 위해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사업이다. 지난해에도 5개 서비스를 발굴했다.

올해는 중소기업과 의료기관 마이데이터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의료·통신 분야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신규 마이데이터 서비스 개발 유형(3건)'과 '기존 마이데이터 서비스 고도화 유형(2건)'으로 나누어 총 5개 과제를 공모했다.

공모 결과 신규 서비스 개발 유형에 △보호자 열람 기반 고령자·미성년자의 의료정보 관리 및 위험징후 예방 서비스 △AI기반 건강 비서 서비스 △정신건강 및 약물복용 관리 서비스가 선정됐다. 과제당 최대 5억원의 예산이 지원된다.

이미 출시해 운영 중인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마이데이터 표준전송체계로 전환하는 기존 서비스 고도화 유형에는 △건강지표 기반의 맞춤 건강관리 서비스 △국민·소상공인 대상 정책추천 서비스가 선정됐다. 고도화 사업에는 과제당 최대 2억원이 지원된다.

비용 지원 외에도 개인정보 관리전문기관 지정 준비에 필요한 컨설팅과 서비스 출시 시 홍보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개인정보위는 본인 정보 다운로드 등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강화와 이용편의성 향상을 위해 범정부 마이데이터 지원 플랫폼인 '온마이데이터' 2차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1차 구축을 통해 전 분야 전송 요구 이력 관리, 참여기관 관리 체계 구현 등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지원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이번 2차 구축 사업에서는 △본인 정보의 다양한 형태(파일, 이메일, 모바일 앱 등) 다운로드 지원 △본인 정보를 직접 관리할 수 있는 개인정보 저장소 △정부24 플러스와의 연계 △데이터 활용 패턴을 분석한 맞춤형 관심 정보 안내 등의 지원 기능이 추가된다.

이정렬 개인정보위 사무처장은 "이들 사업은 서비스 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등의 마이데이터 시장진입을 돕고, 체감할 수 있는 능동적인 마이데이터 활용 환경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마이데이터 생태계 확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마이데이터' 기업 주요 기사

  • 기자 사진 이찬종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