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리 "사실 무근, 악의적 루머"...강경 대응 예고
올 초 정산 주기 연장 조치 등 오해 불러...컬리 "재무 건전성 문제없어"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티몬과 위메프의 대규모 미정산 사태로 이커머스 업계에 부정적 영향이 확산한 가운데, 새벽배송 전문 기업 컬리의 김슬아 대표가 "해외로 도피했다"는 근거 없는 루머가 퍼져 곤욕을 치렀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컬리 비상장 (16,950원 ▲850 +5.28%)는 전일 저녁 "최근 컬리와 관련해 대표 해외 도피 등 근거 없는 소문이 무분별하게 확산하고 있다"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며, 온라인 등에 허위 사실 유포 시 법적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고 긴급 공지했다.
티메프 사태가 터진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재무 건전성이 악화한 이커머스 기업들이 거론됐다. 2015년 창립 후 지난해까지 만년 적자였던 컬리도 이 중 하나였다. 이런 소문들이 누적되며 급기야 최근 "김슬아 대표가 자금난을 해결하지 못해 해외로 도피했다"는 루머로 번진 것.
회사 측은 경영 활동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악의적인 루머라는 입장이다. 컬리 관계자는 "루머의 근원지가 어디인지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혀 근거도 없는 매우 악의적인 내용"이라며 "이번 일이 향후 경영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되면 형사 고발을 비롯해 강력하게 법적 대응을 할 예정"이라고 했다.
일각에선 컬리가 올해 들어 협력사의 정산 주기를 늦춘 조치가 자금난 루머와 연계됐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컬리는 앞서 매일 1일~말일까지 입고된 상품은 다음 달 말일까지 대금을 지급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매월 11~20일 납품된 상품은 두 달 뒤 10일까지, 21일부터 말일까지 납품 건은 두 달 뒤 20일까지 정산 시점을 늦췄다. 매월 20일 이후 납품하는 업체들은 기존보다 최대 20일 늦게 대금을 지급받은 셈이다.
이에 대해 컬리 측은 "식료품 외에도 뷰티 등 제품군을 다양화하면서 정산 주기를 조정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컬리는 올해 1분기 별도 재무제표 기준 첫 분기 흑자(5억원)를 달성했다. 올해 1~2분기 연속 조정 상각 전 영업이익(EBITA) 흑자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컬리는 영업 활동으로 현금 창출력이 개선돼 본격적인 수익 모델을 확보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런 지표가 대금 결제 기한을 늦춘 효과라는 지적도 있다.
컬리는 "회사의 재무 건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강조한다. 컬리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컬리의 자산 총계는 8709억원으로 부채 총계(7493억원)보다 많다.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721억원으로 지난해 말(1387억원)보다 증가했다.
컬리가 향후 사업 확대를 위해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려면 기업공개(IPO)를 통한 상장 추진이 가장 효과적이다. 하지만 누적된 적자로 결손금 규모가 2조2777억원까지 불어난 점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결손금은 향후 회사가 이익이 발생할 때 가장 먼저 상계해야 하고, 결손금을 상계하기 전까지는 이익을 배당할 수 없다.
결국 컬리가 첫 '연간 흑자'를 목표로 한 내년 이익 규모에 따라 회사의 평가 가치가 달라질 전망이다. 컬리 비상장 주식 시세는 2022년 1월 11만6000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그해 IPO를 연기하면서 주가는 대폭 하락했다. 최근 장외 시세는 1만3000원대로 형성돼 있다. 한때 3조원에 육박한 기업 가치는 5000억~6000억원대로 축소됐다.
한편 생활용품을 중점 취급하는 이커머스 오늘의집도 전일 매 대금 미지급설이 제기됐다. 오늘의집은 당일 오후 입장문을 내고 "대금 미지급 풍문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그동안 충분한 유동자금을 기반으로 월 2회 정산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티몬과 위메프의 대규모 미정산 사태로 이커머스 업계에 부정적 영향이 확산한 가운데, 새벽배송 전문 기업 컬리의 김슬아 대표가 "해외로 도피했다"는 근거 없는 루머가 퍼져 곤욕을 치렀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컬리 비상장 (16,950원 ▲850 +5.28%)는 전일 저녁 "최근 컬리와 관련해 대표 해외 도피 등 근거 없는 소문이 무분별하게 확산하고 있다"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며, 온라인 등에 허위 사실 유포 시 법적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고 긴급 공지했다.
티메프 사태가 터진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재무 건전성이 악화한 이커머스 기업들이 거론됐다. 2015년 창립 후 지난해까지 만년 적자였던 컬리도 이 중 하나였다. 이런 소문들이 누적되며 급기야 최근 "김슬아 대표가 자금난을 해결하지 못해 해외로 도피했다"는 루머로 번진 것.
회사 측은 경영 활동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악의적인 루머라는 입장이다. 컬리 관계자는 "루머의 근원지가 어디인지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혀 근거도 없는 매우 악의적인 내용"이라며 "이번 일이 향후 경영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되면 형사 고발을 비롯해 강력하게 법적 대응을 할 예정"이라고 했다.
일각에선 컬리가 올해 들어 협력사의 정산 주기를 늦춘 조치가 자금난 루머와 연계됐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컬리는 앞서 매일 1일~말일까지 입고된 상품은 다음 달 말일까지 대금을 지급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매월 11~20일 납품된 상품은 두 달 뒤 10일까지, 21일부터 말일까지 납품 건은 두 달 뒤 20일까지 정산 시점을 늦췄다. 매월 20일 이후 납품하는 업체들은 기존보다 최대 20일 늦게 대금을 지급받은 셈이다.
이에 대해 컬리 측은 "식료품 외에도 뷰티 등 제품군을 다양화하면서 정산 주기를 조정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컬리는 올해 1분기 별도 재무제표 기준 첫 분기 흑자(5억원)를 달성했다. 올해 1~2분기 연속 조정 상각 전 영업이익(EBITA) 흑자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컬리는 영업 활동으로 현금 창출력이 개선돼 본격적인 수익 모델을 확보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런 지표가 대금 결제 기한을 늦춘 효과라는 지적도 있다.
컬리는 "회사의 재무 건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강조한다. 컬리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컬리의 자산 총계는 8709억원으로 부채 총계(7493억원)보다 많다.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721억원으로 지난해 말(1387억원)보다 증가했다.
컬리가 향후 사업 확대를 위해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려면 기업공개(IPO)를 통한 상장 추진이 가장 효과적이다. 하지만 누적된 적자로 결손금 규모가 2조2777억원까지 불어난 점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결손금은 향후 회사가 이익이 발생할 때 가장 먼저 상계해야 하고, 결손금을 상계하기 전까지는 이익을 배당할 수 없다.
결국 컬리가 첫 '연간 흑자'를 목표로 한 내년 이익 규모에 따라 회사의 평가 가치가 달라질 전망이다. 컬리 비상장 주식 시세는 2022년 1월 11만6000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그해 IPO를 연기하면서 주가는 대폭 하락했다. 최근 장외 시세는 1만3000원대로 형성돼 있다. 한때 3조원에 육박한 기업 가치는 5000억~6000억원대로 축소됐다.
컬리
- 사업분야유통∙물류∙커머스, 엔터∙라이프스타일
- 활용기술빅데이터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한편 생활용품을 중점 취급하는 이커머스 오늘의집도 전일 매 대금 미지급설이 제기됐다. 오늘의집은 당일 오후 입장문을 내고 "대금 미지급 풍문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그동안 충분한 유동자금을 기반으로 월 2회 정산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컬리'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우보세] 콜럼버스와 엔젤투자
- 기사 이미지 알리·테무 공세 이겨낸 컬리, 첫 분기 흑자..."기업공개 재추진"
- 기사 이미지 알리·테무 공습에 초토화?…'새벽배송 원조' 컬리는 웃었다
- 기자 사진 유엄식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