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1기 모집

'우군은 없다' 벼랑 끝 카카오제국…신뢰 회복, 최우선 과제

최우영 기자, 이정현 기자, 배한님 기자 기사 입력 2023.11.06 04:28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위기의 카카오, 환골탈태 시점] 감시기구 '준법위' 설립, 위원장에 김소영 前대법관 위촉
김범수 "뼈 깎는 노력, 위원회 결정 존중" 체질개선 의지
전문가 "거버넌스체계 마련 등 인적관리 시급" 한목소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23일 오전 SM엔터테인먼트 주가 시세조종 의혹과 관련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으로 출석하고 있다. 2023.10.2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23일 오전 SM엔터테인먼트 주가 시세조종 의혹과 관련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으로 출석하고 있다. 2023.10.2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카카오가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관계사의 준법·윤리경영을 감시할 외부기구를 설립하는 등 체질개선에 나섰다. 카카오는 지난 3일 외부 감시기구인 '준법과신뢰위원회'를 설립하고 초대 위원장에 김소영 전 대법관을 위촉했다.

5일 카카오에 따르면 김범수 창업자(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는 감시기구의 결정을 존중하겠다고 약속했다. 계열사가 감시기구의 결정을 존중하지 않을 경우 대주주로서 최대한의 책임을 묻겠다며 힘을 실어줬다.

김 센터장은 "지금 카카오는 기존 경영방식으로는 더이상 지속가능하지 않은 상황이라는 위기의식을 갖고 있다"며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히 빠르게 점검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경영시스템을 갖출 때까지 뼈를 깎는 노력을 다하겠다. 나부터 준법과신뢰위원회의 결정을 존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원회는 카카오와 독립된 외부조직으로 운영규정에 따라 카카오 관계사의 주요 위험요인 선정 및 그에 대한 준법감시 시스템 구축 및 운영단계부터 관여한다. 최근 문제가 된 과도한 관계사 상장, 공정거래법 위반, 시장 독과점, 이용자 이익저해, 최고경영진 준법의무 위반에 대한 감시통제 등 카카오가 사회적으로 지적받은 문제들에 대한 관리감독과 능동적 조사권한을 갖는다.

카카오는 앞서 지난 9월말 이미 CA(공동체얼라인먼트)협의체를 개편했다. 2021년 김범수 당시 이사회 의장이 골목상권 침해논란 등으로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한 뒤 CAC(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를 설치한 것을 회사 규모가 커짐에 따라 개편한 것이다.

CA협의체는 카카오 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컨센서스를 이루고 고민하는 조직이다.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이사가 사업관리부문을, 김정호 브라이언임팩트 이사장이 경영지원부문을, 권대열 카카오 정책센터장이 위기관리부문을, 현재 구속된 배재현 카카오 CIO(투자총괄대표)가 투자부문을 각각 총괄키로 했다. CA협의체 개편은 그동안 계열사 내부에서 준법감시기구나 컴플라이언스를 각자 운영해온 카카오가 컨트롤타워를 더욱 강화하겠다는 취지였다. 그동안 자율경영 체제에서 계열사별 이슈를 각개전투로 풀어내는 게 힘들어졌다는 판단에서였다.

하지만 컨트롤타워 강화방식도 카카오의 리스크 관리에는 크게 통하지 않았다. 유병준 서울대 경영학 교수는 "카카오는 자율경영체제로 좋은 점이 있었다. 그룹 리스크관리 방안이 꼭 컨트롤타워 확대·강화라고 생각하진 않는다"면서 "카카오는 지금껏 실적만 내면 된다며 문제가 있어도 슬그머니 넘어갔던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임직원 모두의 합의하에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만한 일을 하지 말자는 가이드라인을 분명히 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카카오가 현재 물려 있는 사회적 이슈는 10개가 넘는다. 계열사별 독립경영을 외친 카카오에서 여러 문제가 동시에 터져나온 이면에는 카카오가 정부 및 국민들과 올바른 '신뢰관계'를 형성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태준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카카오톡 없이 소통도 못하고 카카오T 없으면 택시도 못타는 등 카카오는 '디폴트 서비스'로 인식돼 있다"며 "사실상 '준정부' 내지 '유사정부' 수준인 셈인데 카카오는 그동안 이러한 기대에 못미치는 모습을 많이 보였다"고 진단했다. 이 교수는 "정부의 정책설계 단계에서 데이터 협조, 수익을 환원하려는 사회적 공헌 등이 약하다 보니 사회적 지분이 부족하고 이는 정부나 사회로부터 카카오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이 꾸준히 나오는 원인이 됐다"며 "삼성이나 현대 등의 대기업처럼 금전관계와 상관 없더라도 정부 시책에 협조하고 정부 당국과 보다 많이 소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카카오가 다시 건강한 기업으로 바뀌려면 뼈를 깎는 쇄신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특히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인적관리'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 교수는 "자회사, 관계사 등 이해관계자와의 관계가 중요하므로 이를 관리하는 거버넌스 체계가 필요하다"며 "기존 컨트롤타워인 CA협의체처럼 정책담당자들만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김범수 창업자와 관계사 대표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논의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외부인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최경진 가천대 법학 교수는 "지금 카카오가 만드는 쇄신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What to(무엇을 할 것인가)가 아니라 How to(어떻게 할 것인가), 그리고 Who to(누가 할 것인가)다"며 "삼성전자가 이재용 부회장 구속 당시 미래전략실을 없애고 외부 사람을 데려다 의견을 들은 것처럼 외부의 쓴소리를 들을 때"라고 했다.

관련기사

  • 기자 사진 최우영 기자
  • 기자 사진 이정현 기자
  • 기자 사진 배한님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