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31일 서울에서 열린 'Generative AI Asia 2023' 세미나에서 "지금 생성 AI 시장은 스마트폰이 처음 나왔을 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스토어의 초기 시장과 상당히 닮았다"고 했다.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생성 AI를 기반으로 광고 문구를 비롯해 이메일 작성 등 비즈니스 분야 다양한 글의 초안을 작성해주는 AI 콘텐츠 플랫폼 '뤼튼(wrtn.ai)'을 운영하고 있다.
이세영 대표는 "모바일이라는 인터페이스 혁명이 나왔을 때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생겨 다양한 모바일 앱이 나와 우리의 일상을 바꿔 나가고 있다. 생성 AI는 언어 기반의 명령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필두로 새로운 앱 생태계를 열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초기에는 신기술의 신기함을 전달하면서 반짝 돈을 버는 어플들도 생겨나고 장난감 같은 어플들도 많이 생겨난다. 이 과정이 조금 지나면 사업성을 매출과 성장세로 검증하는 서비스들도 생겨난다"고 말했다.
그는 "그다음 단계에서는 생성 AI로 할 수 있는 비즈니스가 본격화할 것이다. 이때 킬러앱이 나올 수 있다"며 "이후 많은 기업들이 시류에 편승해 생성 AI 제품을 활용하거나 기능을 추가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대표는 생성 AI의 특징으로 콘텐츠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이 0에 가깝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비용이 극단적으로 단축된다. 개인화된 콘텐츠를 무한히 생성해 낼 수 있다"며 "소요 비용이 없다는 이점을 활용하는 것이 생성 AI의 핵심 비즈니스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생성 AI 시장이 어떻게 발전할지는 2가지 시나리오가 있다"며 "시장의 파편화가 지속되면서 생성 AI 모델의 선택지가 많아지는 상황, 소수 개발사가 압도적인 성능으로 생성 AI 모델을 공급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이 영역의 산업 발전 과정에서 다양한 모델의 선택지가 많아지는 것은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며 "생성 AI를 통해 사업하려는 곳들은 다양한 모델을 응용하고 조합하는 역량을 키우면서 생성 AI 기술의 이점을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뤼튼테크놀로지스'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챗GPT에 뜨는 이 직업…"연봉 1억" 국내서도 파격 채용
- 기사 이미지 사업계획서 등 고난도 글쓰기도 생성 AI로…'뤼튼 도큐먼트' 출시
- 기사 이미지 '한국형 챗GPT' 뤼튼, 4개월간 20억건 생성…무제한 요금제 출시
관련기사
- 미용의료정보 '바비톡', 전직군 공채…연내 100명 규모로 확대
- 내 얼굴을 슈퍼히어로 얼굴로…라이언로켓, 생성 AI '미버스' 출시
- 구조조정 나선 핏펫, 경영효율화TF 출범…"자생력 키운다"
- 어르신 디지털활용 돕는 개인비서 '똑비', 매쉬업엔젤스 투자유치
- 어린이 전자책에 '생성 AI' 음성기술 접목…자이냅스·북토비 맞손
- 기자 사진 최태범 기자 bum_t@mt.co.kr 다른 기사 보기
<저작권자 ©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