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27일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제주AX융합연구실' 개소식을 개최하며, 제주형 인공지능(AI) 기반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에 본격 착수했다. 개소식은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내 제주테크노파크에서 열렸으며, 연구실은 향후 ETRI 제주권연구본부 설립을 위한 시범사업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연구원은 제주AX융합연구실을 통해 정부의 'AI 3강 국가전략'과 제주특별자치도의 디지털 혁신 전략을 연계, 제주 내 AI 연구 인프라 구축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문을 연 제주AX융합연구실은 제주 지역에 특화된 세 가지 핵심 분야인 AI 기반 기후테크, 소버린 인공지능전환(AX) 관광서비스 기술 개발, 초저전력 AI 반도체 기술 및 인재양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ETRI는 특히 제주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관광 자산을 AI
류준영기자 2025.06.27 10: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센소리움연구소와 함께 인공지능(AI)과 디지털트윈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상수도'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18일 밝혔다. 세 기관은 지난달 '디지털트윈 기반 상수관망 관제 기술 실증 및 확산'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상수도 운영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차세대 물관리 기술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력은 물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실제 지역 환경에 기반한 현장 실증을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ETRI는 디지털트윈과 AI를 접목한 상수관망 관제 기술의 개발을 총괄하며, 스마트 도시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에 나선다. 디지털트윈은 현실의 상수도망 시스템을 가상 공간에 정밀하게 구현한 기술로, 수압과 유량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
류준영기자 2025.06.18 15:00:00"밤이 깊었네, 방황하며 춤을 추는 불빛들" … 각각 대전과 부산에 있는 시연자 두 명이 크라잉넛의 '밤이 깊었네'에 맞춰 춤을 추기 시작했다. 같은 시각, 서울 코엑스에 설치된 무대 위에선 두 사람의 메타버스 캐릭터가 춤동작을 그대로 따라 했다. 대전과 부산, 345㎞라는 장거리를 사이에 두고도 시연자는 마치 같은 공간에 선 듯 동작을 맞췄고, 이는 메타버스 캐릭터로 구현돼 생생히 서울의 관객에게로 전달됐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가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한 'ETRI 콘퍼런스 2025'에서 세계 최초 200Gbps(초당 기가비트)급 6G 통신 기술을 적용한 메타버스 공연을 선보였다. 앞서 무대에 선 방승찬 ETRI 원장은 "세계 최초로 실시간 6G 통신 기술을 이 자리에서 공개한다"며 "올해 콘퍼런스의 최고 하이라이트"라고 했다. 각각 대전, 부산의 스튜디오에 있는 시연자가 마치 바로 옆에 선듯 동작을 맞출 수 있는 건 '초저지연 전송' 기술 덕분이다. 초저지연
박건희기자 2025.06.05 13:53:42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가 우리나라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의 총괄을 맡는다. ET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이 '6G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사업'의 세부 3개 과제에 대한 주관R&D(연구·개발)기관을 27일 발표함에 따라 과제 총괄을 맡게 됐다고 12일 밝혔다. 2030년까지 저궤도 통신위성 2기와 지상국, 단말국으로 구성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목표다. 이문식 ETRI 위성통신연구부장이 총괄 책임을 맡아 연구기관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ETRI와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쎄트렉아이는 '세부 1과제'인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탑재체 및 지상국 핵심 기술을 개발한다. '세부 2 과제'는 쏠리드가 주관해 단말국을 개발한다. 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세부 3 과제'를 맡아 위성 본체와 체계종합을 개발한다. 아울러 KT, KT SA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주요
박건희기자 2025.05.12 09:0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