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로보택시 등 자율주행차 시장이 본격 개화하는 모습니다. 미국의 웨이모는 지난해 11월 LA(로스앤젤레스)를 시작으로 샌프란시스코, 피닉스, 애틀란타,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고, 중국의 바이두는 15개 도시에서 1000대 이상의 로보택시를 운영하고 있다. 반면 국내의 자율주행 산업은 제자리 걸음하는 모습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가이드인사이트의 '2024년 자율주행 기술 순위'에서 상위 10개 기업 중 한국 기업은 없었다. 그나마 스타트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A2Z)가 11위로 순위권에 올랐다. 기술고도화의 핵심인 도로 주행량에서 격차가 벌어지면서다. 업계에 따르면 도로주행량은 웨이모가 1억6000만km, 바이두가 1억km 이상인 반면 A2Z는 74만km에 그친다. 열세의 이유로는 두 가지가 꼽힌다. 먼저 빈약한 모험자본 시장
고석용기자 2025.10.30 10:53:10미국 연방 하원의원 40여명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온라인 플랫폼법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한미 무역협상에서 온라인 플랫폼법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2일(현지시간) 워싱턴 정가에 따르면 연방 하원 세입위원회의 에이드리언 스미스 무역소위원회 위원장(공화·네브래스카)이 홈페이지에 공개한 서한에 따르면 스미스 위원장과 캐럴 밀러 의원(공화·웨스트버지니아) 등 하원의원 43명이 전날 트럼프 행정부에 한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온라인 플랫폼업체 규제 문제를 다룰 것을 요구했다. 이들 의원은 온라인 플랫폼업체 규제가 미국 디지털 기업을 불공정하게 겨냥하는 무역 장벽이라고 주장했다. 온라인 플랫폼업체 규제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윤석열 전 정부에서도 추진했던 정책이다. 의원들은 "한국의 온라인 플랫폼법안이 유럽연합(EU)의 디지털시장법(DMA)과 마찬가지로 미국 기업에 불리한 법적 기준과 집행 기준을 만들 것"이라며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뉴욕=심재현기자 2025.07.03 08:0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