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IPO 앞둔 車 보안솔루션 페스카로, 아우토크립트 뛰어 넘을까

박기영 기자 기사 입력 2025.10.08 16: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박기영의 밸류체크]

[편집자주] [밸류체크]는 증시 상장을 앞둔 벤처·스타트업의 기업가치를 분석하고, 미래가치를 전망해보는 코너입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래픽=윤선정
그래픽=윤선정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솔루션 스타트업 페스카로가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승인받았다. 지난해 4월 시리즈B 라운드를 마친지 약 1년 6개월만이다. 당시 페스카로의 기업가치는 900억원 수준으로 이번 IPO(기업공개)에서 공모가액을 얼마나 인정받을지 관심이 쏠린다.

페스카로는 2016년 자동차 전장시스템 전문가와 화이트해커 출신 인력이 모여 설립한 '자동차 통합보안 플랫폼' 전문 스타트업이다. 2023년 65억원 규모 시리즈A를, 지난해 188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시리즈B 당시 RCPS(상환전환우선주) 발행가액은 1만1360원으로 기업가치(밸류) 918억원을 인정받았다. 이후 시리즈C와 프리IPO 등의 후속 투자유치는 생략하고 곧바로 IPO에 나섰다.

주요 투자자는 아이디벤처스, 인터밸류파트너스,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신용보증기금, 주식회사 안랩, 한화투자증권, 유비쿼스인베스트먼트, 신한은행, NH헤지자산운용 등이다. 지난해 말 기준 최대주주는 홍석민 대표로 지분율 41.7%를 보유 중이다. 이외 투자자 지분은 총 45.8% 수준이다.


건실한 재무구조·성장성 '강점'


페스카로의 강점은 안정적인 실적과 성장 기대감이다. 페스카로는 자동차 사이버보안 및 IT 인프라,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를 위한 차세대 제어기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페스카로가 개발한 자동차 사이버보안 솔루션은 글로벌 완성차에 공급되고 있다 .

올해부터는 사업 분야를 기존 일반 승용차에서 상용차, 자율주행차, 농기구까지 넓히면서 시장 확대를 진행 중이다. 문제 진단부터 제어기 공급까지 사이버보안 종합 솔루션을 공급하고 업데이트 및 유지 보수까지 제공한다.

최근에는 농기계 전문기업 대동으로부터 사이버보안 프로젝트를 수주하기도 했다. 페스카로의 사이버보안 솔루션을 통해 유럽연합(EU)의 사이버복원력법(CRA) 문턱을 넘기 위해서다. CRA은 2027년 12월부터 시행되며 기존과 달리 송수신이 가능한 대부분의 디지털 제품에 취약점을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해야 한다. 페스카로는 전 세계 사이버보안 강화 기조를 바탕으로 해외 진출 확대도 계획 중이다.

매출과 재무건전성도 양호하다. 2021년부터 흑자전환에 성공해 지난해에는 매출액 143억원과 영업이익 13억원을 기록했다. 아울러 시리즈B 투자유치 등을 진행하면서 현금성 자산만 280억원을 보유했다. 이는 총자산(386억원) 대비 72%에 달하는 수준이다. 차입금은 없으며 매입 채무 등 운전자금과 미상환 RCPS부채 등을 모두 합친 부채총액은 42억원에 그친다. RCPS는 현재 전량 보통주로 전환된 만큼 부채 규모는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쟁업체인 아우토크립트 (13,620원 ▲180 +1.34%)가 지난 7월 공모가액 밴드 최상단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2105억원으로 IPO에 성공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아우토크립트는 IPO 과정에서 페스카로를 경쟁업체로 지목하며 '동일하게 차량에 탑재되는 제어기에 적용하는 사이버보안 솔루션을 개발 및 납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품의 차이는 있지만 자동차 사이버보안 시장이라는 전방시장을 공유하고 있어 사업적, 기술적으로 유사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아우토크립트는 지난해 매출액이 232억원으로 페스카로보다 62% 가량 많지만 영업손실 180억원을 기록했다. 페스카로가 비교적 안정적인 사업구조를 지닌 만큼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페스카로 관계자는 "자동차 사이버보안 분야는 진입장벽이 높은 시장"이라며 "그간 업계 인지도를 쌓은 만큼 시장확대에 비례해 실적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김지영
그래픽=김지영


오버행은 '부담'…경쟁사 상장 후 '급락'


페스카로는 기존 투자자의 엑싯(차익실현)을 위해 IPO에서 지난 시리즈B보다 높은 몸값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한 당면 과제는 시장에 성장성을 납득시키는 것이다.

경쟁사인 아우토크립트의 경우 IPO 과정에서 올해부터 매출액이 45%, 내년 46%, 2027년 42%씩 성장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고객 확대를 전제로 한 추정이다. 아울러 비교 기업도 현대오토에버, 슈어소프트테크, MDS테크, 모바일어플라이언스 등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업체를 택했다.

페스카로가 매출 규모 확대에 대해 어떤 청사진을 내놓느냐에 따라 기업가치도 크게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페스카로는 기술특례 상장기업이다. 시장에서 납득할만 한 성장 계획을 보인다면 현재 매출 규모보다 훨씬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아우토크립트가 상장 후 지속 하락하고 있다는 점은 부담으로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아우토크립트 주가는 상장 두달여만에 공모가(2만2000원) 대비 38% 가량 하락했다. 차익시현 물량이 몰린 탓으로 보인다. 실제 아우토크립트는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 이상으로 급등하자 기관은 170만주가 넘는 주식을 팔아치웠다. 총 주식수 대비 20% 수준이다.

이는 상장 후 발생할 수있는 오버행(공급과잉) 현상 때문으로 풀이된다. 페스카로의 최대주주 지분율이 41% 수준이고, 아우토크립트는 33% 수준이다. 나머지 지분은 대부분 FI(재무적 투자자)가 보유했다. 이를 고려하면 기관 투자자의 액싯도 유사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페스카로 관계자는 "목표 공모가는 구체적으로 밝히기 어렵다"며 "중국, 미국, 유럽 등 해외 사업 진출을 통한 스케일업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페스카로  
  • 사업분야IT∙정보통신
  • 활용기술스마트카, 로보틱스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페스카로' 기업 주요 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