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를 원격으로 진압하는 국산 장비가 실차 시험에서 성능을 입증했다. 배터리 내부 열폭주로 번지는 화염을 직접 관통해 진화하는 방식이다. 전기차 화재 대응 기술 전문기업 리모빌리티는 지난 9월 충청소방학교에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함께 '전기차 화재 전용 이동형 화재진압 장비'의 실화재 시험을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시험에는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6 실차가 사용됐다. 실험 결과 장비는 비접근식 원격제어 기술을 통해 차량 하부 배터리팩을 직접 관통한 뒤 소화액을 내부로 분사해 열폭주 확산을 차단하고 배터리 온도를 낮추는 데 성공했다. 화염 확산 및 재발화 방지 효과도 확인됐다. 전기차 화재는 외부에서 물을 뿌려도 내부 열폭주를 멈추기 어렵고 진압에 대량의 물이 필요하며 재발화 위험이 장시간 지속된다는 점에서 기존 소방 대응에 한계가 있
김진현기자 2025.10.28 10:03:57[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전기차 화재진압 스타트업 리모빌리티가 소방청으로부터 '소방 신기술' 인정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진압하는 기술로, 올해 상반기에 인정받은 1호 소방 신기술이다. 국립소방연구원의 엄격한 심의 과정을 거쳐 선정됐다. 리모빌리티의 화재진압 장비는 화재가 발생한 전기차의 하부에 원격제어로 신속하게 진입해 배터리 하우징 바닥을 즉시 관통하고 소화액을 고속으로 주입한다. 10미터 이상 떨어져 조작할 수 있어 안전한 비접근을 구현했다. 2개의 관통 노즐이 진입하며 노즐 1개당 4개의 분사구를 갖춰 총 8개의 소화액 분사구를 구현했다. 8개 소화액 분사구를 통해 주입된 소화액은 열폭주 배터리를 신속히 침전시킨다. 관통한 노즐은 장비의 회수 후에도 배터리 하우징 바닥에 고정된다. 주입된 소화액은 다시 역류하지 않고 장시간 배터리 침수를
최태범기자 2025.06.18 13: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