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소시스템즈는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입니다. ETRI출신 대표 및 헬스케어 분야 경력자들이 주축인 기업으로 다가오는 시대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첫 제품으로 근력재활 솔루션 exoRehab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시작으로 다가오는 시대의 인체능력 개선 및 향상을 위한 필수재로서의 솔루션을 만듭니다.
엑소시스템즈는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입니다. ETRI출신 대표 및 헬스케어 분야 경력자들이 주축인 기업으로 다가오는 시대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첫 제품으로 근력재활 솔루션 exoRehab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시작으로 다가오는 시대의 인체능력 개...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의료 AI(인공지능) 솔루션 기업 엑소시스템즈는 AI 디지털 바이오마커 기반 근감소증 진단 소프트웨어인 '엑소메드 딥삭(EXOMed-DeepSarc)'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혁신의료기기로 지정이 됐다고 26일 밝혔다. 엑소시스템즈의 엑소메드 딥삭은 신경근육계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AI 디지털바이오마커 기술을 통해 복잡한 근감소증 진단 검사를 약 3분 안에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그동안 근감소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근육량 평가, 근력 평가, 운동기능 평가 등 복잡한 임상적 기능평가를 받아야 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됐다. 심지어 중추신경계나 신경근육계 질환 환자는 근감소증이 발생해도 신체의 거동이 불편해 진단을 위한 행위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었다. 엑소시스템즈의 기술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소요시간과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는 설명
2024.11.26 15: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의료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엑소시스템즈는 '근감소증 진단 시스템'에 관한 특허로 2023년 대한민국 발명 특허 대전(KINPEX)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 엑소시스템즈는 신체 기능 평가 수행이 어려운 환자군에게도 적용 가능한 근감소증 진단 시스템을 선보여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 솔루션은 AI를 통해 신경근육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디지털 바이오마커 핵심기술'(MFI, Muscle Function Index)을 바탕으로 한다. 신경근육계의 기능을 비침습 방식으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해서 근감소증 질환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에게 적절한 의료 서비스가 이어지도록 돕는다. 기존 신체 기능 평가 대비 근감소증의 위험도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정량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근감소증을 진단하려
2023.11.02 20: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 엑소시스템즈는 '맞춤형 디지털 중재 솔루션의 신경근육계 재활 효과'를 SCI급 노인의학분야 국제 학술지인 JAMDA(The Journal of Post-Acute and Long-Term Care Medicine)에 게재했다고 12일 밝혔다. 엑소시스템즈는 생체 신호 피드백 기반의 맞춤형 운동 중재와 신경근육 전기자극 치료(NMES)를 제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했다. 골관절염 환자의 실시간 생체 신호 피드백을 통해 운동의 목표 설정과 난이도 조절이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치료 소프트웨어와 신경근육 전기자극 치료를 병행해 신경근육계의 기능적 회복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논문에 따르면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엑소시스템즈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이 근력과 근육 활성도를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
2023.10.12 15:10:00'전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는 나라' 한국 사회의 현주소다. 2022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노년층 인구는 901만8000명, 전체 인구의 17.5%다.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노년층인 초고령화 사회까지 3년 남았다. 늘어나는 노인 인구만큼 실버산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실버산업 규모는 2020년 72조원에서 2030년 168조원으로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관심이 집중되는 건 역시나 건강 관리와 요양 등 실버 헬스케어다. 평균 기대수명이 80세를 훌쩍 뛰어넘으면서 좋은 환경에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게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국내 실버 헬스케어 시장 성장에는 두 가지 걸림돌이 있다. '인력난'과 '보조금'이다. 노인 인구는 늘어나고 있는데 이들을 부양할 노동가능인구는 저출산으로 점점 줄어가고 있다. 여기에 보조금에 의존하는 산업구조는 서비스의 전문성을 저해하고, 노인 학대라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최근 실버 헬스케어의 한계를 '디
2023.07.03 08:30:51"이제는 실버세대가 사회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미래의 주인공이잖아요. 사회의 뒤편으로 밀렸던 실버세대가 행복하고 삶의 주인공으로 살 수 있게 돕고 싶습니다." 이후만 엑소시스템즈 대표는 근골격계 디지털 재활치료기기 '엑소리햅'과 '엑소필'이 그리는 청사진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엑소시스템즈는 로봇공학과 인공지능(AI) 기술을 바탕으로 재활 운동을 돕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7년간 로봇공학을 연구하던 이후만 대표가 2017년 창업했다. ━고관절 부상으로 3개월 휠체어 생활…재활치료기기 도전 ━로봇공학 연구에 매진하던 이 대표가 재활치료에 관심을 갖게 된 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원 시절 크게 다치면서다. 축구를 좋아하던 이 대표는 경기하다 고관절을 크게 다쳐 3개월 동안 휠체어 생활을 했다. 그 기간 더디게 발전한 재활 치료의 현실을 몸소 느꼈다. 몸이 불편한 환자가 휠체어를 끌고 재활병원까지 이동해야 했다. 간편
2023.05.02 10:4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