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지에이웍스는 모바일 마케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모바일 어트리뷰션을 비롯해 모바일 데이터분석 마케팅자동화, DMP(Data Management Platform), 머신 러닝, AI, 트레이드데스크, 마켓인텔리전스 등 모바일 데이터와 플랫폼을서비스 하는 국내 유일의 종합 데이터 테크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업입니다. 모바일 데이터 분야에 대한 오랜 연구와 투자로 업계 최초로 10억대가 넘는 모바일 데이터 분석 시대를 열어 보인 아이지에이웍스는 압도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머신러닝 기술을 고도화 하며, 명실상부 국내 B2B 모바일 데이터 산업을 대표하는 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아이지에이웍스는 모바일 마케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모바일 어트리뷰션을 비롯해 모바일 데이터분석 마케팅자동화, DMP(Data Management Platform), 머신 러닝, AI, 트레이드데스크, 마켓인텔리전스 등 모바일 데이터와 플랫폼을서비스 하는 국내 유일의 종합 데이터 테크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업...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광고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자회사 애드팝콘이 일본 QR코드 결제 서비스 페이페이(PayPay)와 제휴를 맺고 다음달 일본 시장에 '보상형 광고 플러스'를 정식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애드팝콘은 모바일 광고 수익화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보상형 광고 플러스는 게임 속에서 광고를 시청하면 게임 아이템과 함께 편의점·온라인 쇼핑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국내에서는 가장 범용성이 높은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리워드로 제공해 왔다. 그 결과 광고 참여율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하고 서비스를 꾸준히 이용하는 이용자도 40% 이상 늘어났다. 아이지에이웍스 관계자는 "보상형 광고 플러스는 반복적인 광고 시청의 피로를 줄이고 참여를 자연스럽게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며 "이용자는 게임의 재미와 생활 속 혜택을 얻
2025.10.21 13: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TV 광고 모델로 가장 많이 노출된 스타는 배우 박은빈과 걸그룹 아이브의 장원영으로 나타났다. 12일 데이터·광고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발표한 'TV 광고 노출 순위' 리포트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광고모델 중 박은빈이 약 20억회로 가장 많은 노출 수를 기록했고, 장원영이 약 19억7000회로 그 뒤를 이었다. 이번 보고서는 KT의 전국 950만 셋톱박스 데이터와 아이지에이웍스의 독자적인 AI(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기술인 SCI(Synthetic Customer Intelligence)를 활용해 산출된 분석 결과가 반영됐다. SCI는 모바일 사용성 데이터, 카드 결제 데이터, 기타 고객 행동 데이터 등 서로 분산된 데이터를 AI가 정교하게 연결하고 분석해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박은빈은 5개 브랜드, 장원영은 9개
2025.08.12 20: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및 마케팅 플랫폼 아이지에이웍스가 매출이 2년 연속 20%씩 감소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역시 2022년 적자를 기록한 뒤 다시 흑자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1년 투자유치 당시 기록한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의 지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아이지에이웍스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1213억원으로 전년 대비 20.9% 감소했다. 2년 연속 감소세로, 2022년 매출액 2009억원과 비교하면 39.7% 줄었다. 영업손실도 지속됐다. 지난해 영업손실은 23억원으로 전년 대비 65.2% 줄였지만 2022년부터 3년 연속 손실을 이어갔다. 아이지에이웍스의 실적 악화는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트레이딩웍스' 솔루션의 부진에서 비롯됐다. 트레이딩웍스는 광고 수용자 데이터를
2025.04.13 13: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광고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213억원, 영업손실 23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년 대비 손익은 42억5000만원 개선되며 적자 폭을 크게 줄였다. 플랫폼 부문은 2년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플랫폼 부문 공헌이익은 약 59억원 수준에 도달했으며, 광고 대행 자회사들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연결 기준으로는 영업이익 18억5000만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광고 대행 사업 부문은 업황 악화와 시장 전반의 불황 영향으로 여전히 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AI(인공지능)를 활용한 비용 효율화와 구조 개편을 통해 전년 대비 약 42억원 수준의 손익 개선을 이뤘다. 특히 인건비 비중이 높았던 사업 영역은 물론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등 디지털 솔루션 전반을 AI 기반으로 전환해 반복
2025.03.31 15: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유쾌, 상쾌, 통쾌!" "우리곁엔 언제나 ○○○" TV만 틀면 언제나 함께 나왔던 것 같은 두 유명 (보조)치료제 광고들이 실제로도 국내 TV광고노출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데이터플랫폼 스타트업 아이지에이웍스가 운영하는 'TV애드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TV에 가장 많이 나온 광고 1위는 71억9000만회가 노출된 명인제약의 잇몸 보조치료제 '이가탄'으로 나타났다. 2위는 같은 명인제약의 소화기관 치료제 '메이킨'으로 52억8000만회가 노출됐다. 이어 3~10위는△KT(49억9000만회) △알리익스프레스(44억7000만회) △아로나민골드(35억2000만회) △에이스침대(34억3000만회) △호텔스닷컴(34억3000만회) △푸라닭치킨(32억6000만회) △켈리(29억1000만회) △카스(27억8000만회)가 차지
2025.01.28 14: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