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수학 콘텐츠 편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에듀테크 스타트업입니다. SaaS형 DX서비스 '수학비서'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AI를 활용하여 그래프, 도형을 그리는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이 기술을 바탕으로 2023년 7월 팁스 추천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해당 문제의 페이지와 출처를 같이 저장해 다음 검색해 사용할 수 있는 '디텍션(Detection)' 기술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체 기술을 사용한 '수학비서'는 2023년 1월 런칭하여 7개월 만에 사용자 수 5000명을 확보했습니다.
무료 수학 콘텐츠 편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에듀테크 스타트업입니다. SaaS형 DX서비스 '수학비서'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AI를 활용하여 그래프, 도형을 그리는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이 기술을 바탕으로 2023년 7월 팁스 추천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해당 문제의 페이지와 출처를 같이 저장해 다음 검...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수학 교육 전문 에듀테크 기업 주식회사 포스트매스는 올해 상반기 매출 1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00% 성장을 달성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연매출 24억원의 70% 수준이며, 이에 따라 올해 연간 매출은 50억원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트매스는 내신문제와 다양한 수학문제의 난이도, 출처, 유사문제 등을 한 번에 체크하고 비슷한 유형의 새로운 문제로 대체해 시험문제를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서비스 '수학비서'를 운영하고 있다. 기존의 나만의DB 서비스에 더해 올해 상반기에만 1초 DB화, DB Lite, 웹POSTGEO, 수학B서점 등 4개의 신규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출시했다. 그 결과 ,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는 지난해 100만개에서 6개월만에 200만개로 급증했다. 포스트매스는 기술도 고도화, 지난해 자체 개발한 수학 전용 광학문서인식
2025.07.18 16: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에듀테크 기업 포스트매스는 지난해 연매출이 24억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약 3배 성장했다고 12일 밝혔다. 2021년 4월 설립된 포스트매스는 2023년 1월 수학비서 서비스를 출시한 이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회사의 연간 매출은 △2021년 1억3000만원 △2022년 3억2000만원 △2023년 8억3000만원 △2024년 24억1000만원을 기록하며 연평균 169%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포스트매스는 이같은 성과가 대규모 마케팅 없이 입소문만으로 달성됐다고 강조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기업 간 기술 공급을 통해 매출을 창출했으나, 서비스를 출시한 2023년부터 매출의 99% 이상이 수학비서 플랫폼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최준호 포스트매스 대표는 "2025년 1월 실적이 이미 전년 동기 대비 2배 증가했다"며 "올해는 그동안 준
2025.02.12 12: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수학교사의 디지털전환 솔루션 '수학비서'를 제공하는 포스트매스가 27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더인벤션랩, 신용보증기금 등이 참여했으며 누적투자금은 약 50억원이다. 포스트매스가 운영하는 '수학비서'는 교사들을 위한 무료 문제은행 플랫폼이다. PDF로 제공하는 기존 문제은행 기업과 달리 한글파일(HWP)을 지원하고 원클릭 유사문제 검색, PPT 변환 등 교육 현장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교과서, EBS 등 학교 수업에 필수적인 문제 데이터베이스(DB)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현재 100개 이상의 고등학교에서 활발히 사용 중이다. 특히 포스트매스는 국내 수학 문제에 특화된 광학문자인식(OCR) 기술을 자체 개발했다. 낙서가 있는 문제도 오타 없이 인식할 수 있으며, 자체 개발한 그래프 프로그램으로 수학적 의미를 기반
2024.11.17 15: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교육 관리 플랫폼 업체 포스트매스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으로부터 재정과 인프라 등을 지원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구글 포 스타트업 클라우드'(Google for Startups Cloud)에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특히 포스트매스는 기술력을 인정 받아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인 AI startup 등급에 선정됐다. 포스트매스는 프로그램 선정으로 최대 35만달러(약 4억 8612만원)의 재정적 혜택과 구글 클라우드 및 파이어베이스 비용을 지원받는다. 인공지능(AI) 교육, 개방형 AI 인프라 지원, 팀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워크숍, 시장 진출 지원 등 다양한 혜택도 제공받게 된다. 포스트매스는 수학교육자를 위한 DX(디지털 전환) 솔루션인 '수학비서'를 운영하고 있다. '수학비서'는 지난해 1월 출시 이후 연매출 8억6000만원
2024.06.26 06:00:00"자연은 수학의 언어로 쓰여 있다." 이탈리아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한 말이다. 자연은 수학을 통해서 이해되고 설명된다는 의미다. 수학은 시공간을 초월한 전세계인의 공통언어다. 세계 어느 나라를 가고, 100년 전으로 되돌아 간다고 해도 수학적 의미는 동일하다. 수학 문제은행 플랫폼 '수학비서'를 운영하는 포스트매스가 사업 초기부터 국내 교육시장을 넘어 글로벌을 정조준한 것도 이 때문이다. 수학비서는 수학 교사들이 문제를 간편하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다. 이 서비스는 별다른 마케팅이 없었음에도 출시 7개월만에 국내에서만 월 매출 1억원을 넘어섰다. 최근엔 시드 투자유치에도 성공했다. 초기기업 전문 투자사인 더인벤션랩이 시드 투자로는 적지 않은 5억원을 투자했다. ━문제 편집·그래프 제작 프로그램 등 편의성↑━그간 수학비서 외에도 수학 문제를 제작해주는 서비스는 많았다. 하지만 대부분 유료(5만~30만원) 서비스인데다 PDF 파일로 제공돼
2023.10.07 15: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