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일본은 제조업 문화가 강해 납기나 품질 요구 수준이 높고 '감점주의' 사고방식이 강하다. 사소한 실수로도 신뢰를 잃기 쉬우며, 잦은 정보 공유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본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은 철저한 현지화 노력이 필요하다." 파크샤(PKSHA)캐피탈은 일본의 AI(인공지능) 기업 파크샤테크놀로지스가 모회사인 벤처투자사(VC)다. 기존 산업에 AI를 접목해 혁신을 이끌어내는 모든 기업에 투자한다. 전략적 투자(SI)가 아닌 100% 재무적 투자(FI)에 중점을 둔다. 에비하라 히데유키 파크샤캐피탈 대표는 베테랑 투자전문가. 또다른 일본 VC 사이버에이전트캐피탈에서 12년간 재직했으며 이 시기 배달의민족, 블라인드, 리멤버 등 한국의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했다. 이처럼 한일 투자시장에 모두 밝은 그는 최근 서울에서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플랫폼 '유니콘
최태범기자 2025.09.14 13:00:00"투자를 받으려니 1년밖에 안된 기업에 '매출이 얼마냐'고 묻습니다. 대기업과 손잡으면 억대의 매출을 만들 수 있지만 저희의 글로벌 도전이 석달 늦춰집니다. 대기업의 외주업체가 되지 않겠다는 도전을 응원해주는 투자사가 많지 않습니다."(김연석 제틱AI 대표) "AI스타트업에 '상장하지 말고 매각하라'고 조언합니다. 증권가는 한국 AI기업보단 나스닥이나 미국 증시에 투자하는 게 낫다고 보고 VC(벤처캐피탈)펀드는 코스닥 상장사엔 투자할 수 없다 보니 상장 후 투자기회가 마르는 아이러니가 발생합니다."(이정수 플리토 대표) 21일 6개 AI스타트업 대표(디플리·제틱AI·메타팩토리코퍼레이션·트립비토즈·글로랑·플리토)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서울 광화문 HJ비즈니스센터에서 개최한 'AI스타트업 투자 및 지원 활성화 간담회'에서 이같이 토로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대표는 AI에 지나치게 많은 돈이 몰렸다며 'AI 버블'을 경고했지만 정작 국내에선 초기기업부터 코스닥 상장사까지 여전히 투자받
윤지혜기자 2025.08.22 14:24:11[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서학개미입니다. 해외 주식을 사는데 환전 수수료를 내야 하더군요." 지난달 27일 서울 코엑스. 서정아 스위치원 대표가 자신도 해외주식에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을 진행하는 대중견기업 및 스타트업, 벤처 관계자 100여명이 그의 발표에 주목했다. 서울경제진흥원(SBA) 서울창업허브공덕은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2025 서울 오픈이노베이션 런칭 데이'를 열...
김성휘기자 2025.07.01 08: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