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1월 미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 카운티의 한 사립학교가 AI가 만든 딥페이크 음란물 논란으로 셧다운됐다. 학부모의 요구로 교장이 사퇴하는 등 혼란이 이어지자 하루 동안 모든 수업을 중단키로 한 것이다. 남학생 2명이 약 60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500장의 딥페이크 음란물을 만들어 유포한 게 발단이 됐다. 두 가해 학생은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여학생들의 사진을 확보해 AI 애플리케이션으로 나체 이미지를 만들었다. 이들은 다량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여러 개의 이메일 주소를 만들고, 폐쇄형 SNS인 디스코드...
윤지혜기자 2025.07.01 10:45:55청소년의 생성형 AI(인공지능) 활용률이 높아지면서 윤리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늘날 디지털 네이티브가 향후 'AI 네이티브'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비판적 사고와 책임 의식을 높이는 교육으로 AI 사이버폭력 심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청소년의 생성형 AI 이용 실태 및 리터러시 증진방안 연구'에 따르면 총 57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7.9%가 생성형 AI를 사용한 적 있다고 답했다. 챗GPT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고 빙, 뤼튼, 클로바엑스가 그 뒤를 ...
윤지혜기자 2025.07.01 10:4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