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4년간 결성된 K-콘텐츠펀드가 설정액의 절반도 투자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결성된 K-콘텐츠펀드 규모는 총 2조7000억원으로 이중 1조4000억원(52%)이 투자처를 찾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4485억원 규모로 조성된 펀드 중 2559억원만 투자돼 1926억원이 남았으며, 2024년에는 6800억원 가운데 2829억원만 집행됐다. 최근 2년간 미집행된 자금은 5897억원에 달한다. 수익률도 부진하다. 최근 5년간 청산된 K-콘텐츠 펀드의 수익률은 최고 -16%, 평균 -8%로 모두 마이너스 성과를 기록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신규 펀드 조성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관련기사☞ 문화강국 무색한 K-콘텐츠펀
김진현기자 2025.10.13 14:53:38[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정부 예산이 투입된 K-콘텐츠펀드의 미소진 투자금(드라이파우더)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 영화·드라마 등 각종 콘텐츠 제작비용 급증으로 흥행에 성공해도 수익을 내지 못하는 구조가 뿌리 깊게 자리 잡으면서 예산을 줘도 제대로 쓰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IP(지적재산권) 산업화 경쟁력을 키우지 않으면 '제2의 케데헌' 발굴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28일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플랫폼 '유니콘팩토리'가 문화체육관광부·국회예산정책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최근 4년간(2022~2025년 5월 기준) 모태펀드가 출자한 K-콘텐츠펀드(문화·영화 계정 합산, 전략·글로벌 계정 제외) 결성액은 총 2조7470억원으로 이중 37.5%(31조296억원)만 투자됐다. 투자처를 찾지 못한 미소진 투자금은 운용비 10%(2747억원)를 뺀 1조4427억원이다. 전체
송지유기자,고석용기자,김진현기자 2025.09.28 04: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