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세드릿지는 B2B 웰니스 플랫폼 `달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MZ세대가 근무하는 스타트업과 공유오피스를 대상으로 달램핏, 교정테라피, 마음 달램, 웰니스워케이션, 달램 코칭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추후 수면 관리, 식단, 습관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대전의 대표적인 베이커리 브랜드 '성심당'을 운영하는 로쏘가 임직원들의 심리적 안정과 정서적 회복을 위해 기업 맞춤형 심리상담 프로그램 '달램'을 도입했다. 15일 달램 운영사 헤세드릿지에 따르면 로쏘 임직원들은 △정신건강 전문가를 통한 개인 고민과 정서 문제 상담 △객관적 진단 도구를 통한 심리검사와 스트레스 분석 등 달램을 통해 전문적인 멘탈 헬스케어를 받을 수 있다. 헤세드릿지 관계자는 "성심당이 오랜 시간 강조해 온 '사람 중심의 경영' 철학을 실제 조직 운영에 반영한 사례"라며 "빠르게 변화하는 업무 환경 속에서 구성원들의 정서적 소진(번아웃), 직무 스트레스, 대인관계 갈등, 개인적 고민 등을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말했다. 달램을 통한 상담은 대면과 비대면(모바일) 중 임직원이 희망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임직원 1인당 연간 최대 5회
2025.05.15 09: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직장인들이 피로감을 가장 많이 느끼는 시간대는 오후 1시, 요일별로는 수요일 피로도가 가장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7일 기업용 사내 웰니스 건강 솔루션 '달램'을 운영하는 헤세드릿지가 달램 웰니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250여개 임직원 3650여건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달램의 서비스를 원하는 시간대를 묻는 질문에 889명(29%)이 오후 1시를 꼽았다. 달램의 서비스는 스트레칭과 명상 기반 오피스 스트레칭인 '달램핏'을 비롯해 일대일 맞춤형으로 근골격을 케어하는 교정 테라피, 심리 상담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췄다. 정신과 육체의 피로도 완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요일별 달램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수요일이 약 30%로 가장 높았다. 월요일과 화요일 동안 업무에 집중한 후 에너지가 소진되고 스트레스가 누적되면서 회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는 설명이
2025.02.07 13: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기업용 사내 웰니스 건강 솔루션 '달램'을 운영하는 헤세드릿지가 교보생명에서 프리시리즈A 투자를 유치하고,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팁스(TIPS)에도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팁스는 민간과 정부가 합심해 우수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민간 운영사가 유망한 스타트업에 먼저 1~2억원을 초기 투자하면, 중소벤처기업부가 R&D(연구개발) 자금 등을 연계 지원하는 방식이다. 팁스에 선정된 스타트업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연구개발 자금 확보가 가능하다. 사업화 자금(1억원)과 해외 마케팅(1억원)을 위한 추가 자금 지원도 받을 수 있다. 헤세드릿지는 지난해 교보생명의 창업도약패키지에 선정돼 실무 전문가 멘토링 및 그룹사와의 협업모델 발굴, 공동사업화, 사내외 홍보 등 다양한 지원을 받아왔다. 직접 투자까지 유치하면서 사업 성장을 위
2025.01.31 16: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퇴사·이직이 빈번한 시대가 되면서 사내복지를 강화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적절한 보상과 휴식을 중시하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에 민감한 MZ세대 직원들을 붙잡아 두기 위해서다. 중대재해처벌법과 같은 규제 환경의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임금 보완성 성과급에 그쳤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차별화된 복지에 대한 기업들의 수요가 커졌다. 이와 맞물려 임직원의 복지를 다른 기업이 전문적으로 대행해주는 'B2E(Business to Employee)' 시장이 성장세를 보인다. 식권·간식·커피·심리상담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B2E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아직 독보적인 곳은 없는 상황이다. 이에 기업용 웰니스 플랫폼 '달램'을 운영하는 헤세드릿지는 멘탈케어와 헬스케어를 아우르는 서비스 모델로 B2E 시장에서의 입지 구축에 나섰다. 달램은 크게 5개 서비스로 구성된다. 요가·
2024.05.31 09: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환경(Environment)을 보호하고 사회(Social) 문제를 해결하며 건전하고 투명한 지배구조(Governance)를 만드는 것, 'ESG 경영'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가 되면서 이를 내재화하려는 기업들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기업의 목표가 이윤 추구였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아무리 실적이 좋아도 ESG라는 비재무적인 요소를 인정받지 못하면 기업가치를 높게 봐주지 않는 시대다. 이 때문에 ESG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8일 산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선 자금과 인력이 충분한 대기업을 중심으로 ESG 경영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벤처·스타트업의 경우 '유엔글로벌콤팩트(UN Global Compact, UNGC)'에 가입하는 방식으로 ESG 경영을 표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UNGC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지속가능성에 기
2023.10.09 15: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