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간 대만 방문 중 아이돌급 인기, '대만의 아이콘' 부상
황 "대만은 중요한 국가" 소신 발언에 대만인들 자부심↑
엔비디아 시총 3조 넘어 애플 추월…세계 13위 부자 등극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대만의 아이콘'으로 부상했다. 황은 대만을 중요한 '국가'(nation)라고 칭하며 대만계 미국인의 정체성을 과감히 드러냈다. 대만에서는 광기에 가까운 그의 인기에 신조어 '젠새너티'(Jensanity)까지 등장했다. 서구 언론들도 그를 'IT 업계의 테일러 스위프트'에 비할 정도다.
애플 시총 누른 엔비디아, 젠슨 황 세계 13위 부자로 '껑충' 월스트리트저널과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황 CEO의 순자산은 7일 기준 1061억달러로 세계 13위에 올랐다. 황의 순자산은 올해 들어서만 620억달러 급증해 엔비디아 주가의 상세를 타고 매주 순위가 상승하고 있다. 이로써 황은 미국 최고 부자 가문인 월튼가의 각 구성원들의 자산 규모를 추월했다.
올해 61세인 황 CEO는 엔비디아 지분 3.5%를 보유하고 있는데 엔비디아는 지난주 시가총액 3조달러를 달성하며 애플의 시가총액을 뛰어넘었다. 그러나 대만에서 젠슨 황 신드롬으로 불리는 이른바 '젠새너티'는 비단 그의 경제력에 기안한 게 아니다. 중국과 힘겨운 대치를 하고 있는 대만인들에게 대만 출신으로서 세계 칩 시장을 좌지우지하고 있는 황은 그 자체로 대만의 아이콘이다.

지난 2일 대만국립대 강당에서 90분에 걸친 그의 기조연설을 지켜본 잡지 에디터 올리 린은 "황은 대만의 자존심"이라며, 황의 사진 옆에 '대만은 당신을 사랑한다'고 적힌 팻말을 내걸었다. 린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있으면서도 대만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는 그를 보면 우리에게 더 가까워진다"고 말했다.
황 "대만은 중요한 국가" 소신 발언… 대만 주민들 '황 신드롬' 1963년 타이베이에서 태어난 황은 5세에 태국으로 이주, 미 워싱턴주 타코마로 향하기 전까지 4년 간 태국에서 살았다. 현재는 대만과 미국 이중 국적이며 엔비디아의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 있다. 그러나 대만이 없는 엔비디아는 상상하기 어렵다. 대만 국민 기업인 TSMC는 엔비디아가 설계한 최첨단 칩을 대만에서 생산한다. 엔비디아의 고객사들 중 상당 기업이 대만에 포진해있다.

'타이완의 정체성 정치와 대중 문화: 사자오 세대'(Identity Politics and Popular Culture in Taiwan: A Sajiao Generation)라는 책을 쓴 시드니 유에는 "젠슨 황의 뿌리가 대만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황의 세계적 업적과 대만에 대한 친화력은 현지인들에게 "섬의 국가적 성공과 역량"의 표시로 간주된다"고 말했다.
홍콩처럼 대만에도 '일국양제'(一國兩制·1국 2체제)' 시스템을 강요하는 중국에서는 황을 태양에 너무 가까이 다가간 이카루스에 비유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대만을 '국가'로 언급한 황에 대한 반감이 섞인 표현이다. 지난 4일 대만중앙통신(CNA) 보도에 따르면 황은 대만기자들이 세계 과학기술분야에서 대만의 중요성을 묻자 영어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 중 하나"라고 답변했다.
'젠슨황'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젠슨 황 "중국, 미국에 AI 뒤처지지 않아…화웨이, 강력한 기업"
- 기사 이미지 "AI, 투자한 만큼 수익 있나"…젠슨 황 "1달러 쓰면 5달러 번다"
- 기사 이미지 인종차별·학폭에 시달렸다…'엔비디아' 젠슨 황의 학창시절 [스토리후]
관련기사
- 기자 사진 김희정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