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고위 경영진, 인도 방문…인도 진출 계획 보류한 지 1년 만, 다음달 모디 총리 미국 방문 앞두고
테슬라가 인도 현지에 전기차 공장을 만들기 위해 다시 움직이고 있다. 높은 수입차 관세를 두고 인도 정부와 충돌했던 테슬라가 1년 만에 또 한 번 인도 시장 진출을 위한 발판을 다지는 모양새다.
로이터통신은 17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테슬라가 인도 정부 측에 국내 판매 및 수출용 전기차 생산 공장 건설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인도를 방문 중인 테슬라 고위 경영진은 이날 나렌드라 모디 총리 사무실을 방문했으며, 정부 부처 인사들을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서 공장의 위치나 투자 규모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테슬라는 인구 대국인 인도 시장 진출을 수년간 모색해왔다. 하지만 인도 정부와의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자 테슬라는 지난해 인도 진출 계획을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테슬라와 인도 정부는 인도가 수입차에 부과하고 있는 고율 관세를 두고 입장차를 좀처럼 좁히지 못했다. 인도는 4만달러(약 5324만원)를 초과하는 수입차에 100%, 그 이하에는 70%의 관세를 부과한다. 테슬라는 인도 시장에 진출할 경우 이같은 관세 제도가 소비자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 보고 인도 정부에 수입세를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세금이 줄어들면 해외에서 생산한 차량을 인도에 판매해 시장 반응을 파악한 뒤 현지 생산을 위한 공장 건설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게 테슬라의 계획이었다.
인도 정부는 완강했다. 미국이나 중국에서 만든 차를 수입해 인도에서 팔 구상을 하지 말고, 인도 현지에서 차를 생산해 판매하라는 게 인도 정부의 요구였다. 제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메이드 인 인디아' 정책을 펼치고 있는 모디 총리의 방침에 따른 것이다. 니틴 가드카리 인도 교통부 장관은 지난해 한 콘퍼런스에서 "중국에서 차를 제조해 인도에서 파는 것은 인도 입장에선 결코 좋은 제의가 아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테슬라는 자동차 판매 및 서비스가 우선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곳엔 공장을 두지 않겠다"고 맞받아쳤다.
그러나 테슬라가 포기하기에는 인도는 너무 큰 시장이다.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전체 자동차 판매의 3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현재 인도의 전기차 보급률이 2%대로 낮은 상태다. 그만큼 잠재력이 뛰어난 시장이라는 얘기다. 블룸버그통신은 "테슬라 고위 경영진의 이번 방문은 아직 인도 시장에 진출하지 못한 테슬라와 인도 정부 관계의 해동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고 짚었다.
테슬라가 인도에 생산기지를 마련하면 '중국 리스크'에서도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테슬라 등 미국 기업들은 미중 사이의 무역 긴장이 완화할 기미를 보이지 않자 중국을 넘어서는 전환의 중요성을 점점 더 깨닫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설명했다.
테슬라의 인도 공장 설립 논의 재개는 다음 달 모디 총리의 미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이뤄졌다. 모디 총리 방문은 중국에 위협에 맞서 미국과 인도의 협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17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테슬라가 인도 정부 측에 국내 판매 및 수출용 전기차 생산 공장 건설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인도를 방문 중인 테슬라 고위 경영진은 이날 나렌드라 모디 총리 사무실을 방문했으며, 정부 부처 인사들을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서 공장의 위치나 투자 규모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테슬라는 인구 대국인 인도 시장 진출을 수년간 모색해왔다. 하지만 인도 정부와의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자 테슬라는 지난해 인도 진출 계획을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테슬라와 인도 정부는 인도가 수입차에 부과하고 있는 고율 관세를 두고 입장차를 좀처럼 좁히지 못했다. 인도는 4만달러(약 5324만원)를 초과하는 수입차에 100%, 그 이하에는 70%의 관세를 부과한다. 테슬라는 인도 시장에 진출할 경우 이같은 관세 제도가 소비자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 보고 인도 정부에 수입세를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세금이 줄어들면 해외에서 생산한 차량을 인도에 판매해 시장 반응을 파악한 뒤 현지 생산을 위한 공장 건설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게 테슬라의 계획이었다.
인도 정부는 완강했다. 미국이나 중국에서 만든 차를 수입해 인도에서 팔 구상을 하지 말고, 인도 현지에서 차를 생산해 판매하라는 게 인도 정부의 요구였다. 제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메이드 인 인디아' 정책을 펼치고 있는 모디 총리의 방침에 따른 것이다. 니틴 가드카리 인도 교통부 장관은 지난해 한 콘퍼런스에서 "중국에서 차를 제조해 인도에서 파는 것은 인도 입장에선 결코 좋은 제의가 아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테슬라는 자동차 판매 및 서비스가 우선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곳엔 공장을 두지 않겠다"고 맞받아쳤다.
그러나 테슬라가 포기하기에는 인도는 너무 큰 시장이다.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전체 자동차 판매의 3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현재 인도의 전기차 보급률이 2%대로 낮은 상태다. 그만큼 잠재력이 뛰어난 시장이라는 얘기다. 블룸버그통신은 "테슬라 고위 경영진의 이번 방문은 아직 인도 시장에 진출하지 못한 테슬라와 인도 정부 관계의 해동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고 짚었다.
테슬라가 인도에 생산기지를 마련하면 '중국 리스크'에서도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테슬라 등 미국 기업들은 미중 사이의 무역 긴장이 완화할 기미를 보이지 않자 중국을 넘어서는 전환의 중요성을 점점 더 깨닫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설명했다.
테슬라의 인도 공장 설립 논의 재개는 다음 달 모디 총리의 미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이뤄졌다. 모디 총리 방문은 중국에 위협에 맞서 미국과 인도의 협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 기자 사진 박가영 기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