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비상장사) 진입이 기대되는 스타트업 이른바 ‘수니콘’ 가운데 AI(인공지능)를 적극 도입해 흑자전환을 이룬 기업들이 주목된다. 6일 스타트업 업계를 종합하면 디토닉, 자비스앤빌런즈, 클래스101, 패스트파이브 등이 AI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면서 지난해 실적이 전년(2023년) 대비 반등하는 제이(J) 커브를 그렸다. 수니콘은 곧(soon) 유니콘이 된다는 뜻으로, 국내에선 예비 유니콘으로 통한다. 이미 덩치가 커진 유니콘과 달리 '수니콘'들은 뾰족한 경쟁력을 가다듬지 않으면 자칫 추가투자를 못 받으면서 위기에 빠질 리스크가 크다. 'AI 수니콘'의 흑자전환이 주목받는 이유다. ━유니콘 꿈꾸는 수니콘, J커브 비결은 AI ━현대차 사내벤처로 출발한 AI 빅데이터 스타트업 디토닉은 지난해 매출액 315억원을 기록하며 2023년 173억원에
김성휘기자 2025.06.06 07:45:47[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국세청이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인 5월에 삼쩜삼, 세이브잇 등 민간 세무 플랫폼의 홈택스 접속을 지속적으로 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무 플랫폼의 트래픽 폭주로 서버 과부하가 발생해 차단이 불가피했다는 게 국세청 입장이지만 세무 플랫폼 이용자도 일반 납세자인 만큼 홈택스 이용자와의 형평성 문제와 함께 서버 관리 등 본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세청은 지난 7일부터 삼쩜삼 등 민간 세무 플랫폼의 홈택스 접속을 차단했다. 특히 12~14일에는 업무시간 내내 홈택스 접속을 제한해 오후 6시 이후에만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했다. 국세청은 지난해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도 유사한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한 세무 플랫폼 관계자는 "차단 시점이나 지속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아 이용자에게 대기를 걸어두게 하고 스크래핑 차단이 풀리는
남미래기자 2025.05.20 08:12:41[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세금 신고·환급 도움 서비스 '삼쩜삼'을 운영하는 자비스앤빌런즈가 5월 종합소득세(종소세) 정기신고 시즌을 맞아 AI(인공지능)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세무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1일 밝혔다. AI 개인화 서비스는 LLM(거대언어모델)에 1220만건이 넘는 누적 환급신고 데이터를 학습시켜 고객의 특성을 직군과 소득, 성별, 연령대 등으로 나누고, 개인 맞춤형 세무분석 로직을 적용한다. 자비스앤빌런즈는 이번 서비스를 통해 개인별 '최대 환급'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또 월세세액공제와 중소기업취업자 감면 등의 다양한 공제 항목을 적용하고, AI 분석을 통해 서류 검토 시간을 30초 이내로 단축했다. 결혼세액공제를 새롭게 추가하고 부양가족 등 인적공제는 더욱 정교화했다. 세금 납부 서비스도 탑재해 신고부터 환급, 납부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구축했다. 삼쩜
최태범기자 2025.05.01 11: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전문 직역단체는 물론 공공기관들까지 스타트업의 사업에 맞대응하는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결과적으로 혁신의 싹을 자르게 되는 것 아닌지 우려가 커진다. 종합소득세(종소세) 환급 신청 서비스를 주도해 온 '삼쩜삼' 등 민간 플랫폼에 맞서 한국세무사회가 '국민의 세무사' 앱을 출시했고, 국세청도 '원클릭' 서비스를 내놨다. 변호사 연결 플랫폼 '로톡'에 대해선 대한변호사협회가 '나의변호사'를,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직방' 등 민간의 부동산 정보 플랫폼에 맞서 '한방'을 출시한 바 있다. 또 보훈복지의료공단의 요양가족용 정보공유앱 '보훈 톡톡', 금융감독원의 금융사 등록주소 자동 변경 '금융 주소 한 번에' 등도 있다. 모두 스타트업들이 먼저 사업화를 시작한 서비스다. 공공 성격의 단체나 기관이 국민 편의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그 자체로는 타당하다. 이용자인 국
최태범기자 2025.04.30 05: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