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기술은 많지만 쓸 만한 기술이 없다." 우리나라는 2023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4.9%를 연구개발(R&D)에 투입할 정도로 막대한 예산을 쏟고 있지만 투자 대비 성과는 늘 아쉬움을 남긴다. 같은 해 공공연구기관의 신규 기술 개발 건수는 최대치를 기록한 반면 기술이전 비율은 30.2%로 낮아 기술사업화의 한계를 드러냈다. 연구실에서 개발된 기술이 시장의 실제 수요와 동떨어져 있다는 'R&D 패러독스'이다. 우리 경제의 또다른 문제는 혁신 생태계가 수도권에 집중됐다는 점이다. 비수도권에도 잠재력 있는 청년 창업가와 지역 대학이 있지만 특히 막대한 투자와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딥테크 분야는 수도권과 대전 등 특정 거점에 인력과 자본, 기술력이 밀집돼 있다. 이를 극복하고 대한민국 전체의 혁신 동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대한 근본적인 패
강영재기자 2025.09.10 11:43:25정부가 대학과 출연연 간 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인재 양성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기술패권 경쟁 등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기술주권 확보를 위해 역동적이고 창의적인 연구개발(R&D)생태계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진단에서다. 우주산업 인재양성방안(STAR)을 수립해 5대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전(全)주기 인재 선순환 체계도 구축한다. 정부는 19일 고려대학교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4차 인재양성전략회의를 개최한다. 인재양성전략회의는 ...
유효송기자 2025.03.19 19: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