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서울시와 서울경제진흥원(SBA)이 웹툰 웹소설 분야 콘텐츠 전문 교육시설 '상상비즈아카데미'를 운영하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 창작과정 교육생을 모집한다고 19일 밝혔다. '상상비즈아카데미'는 2023년 5월 개관했다. 웹툰·웹소설·애니메이션 분야에 다양한 과정을 운영하며 수료생 가운데 51%인 171명이 관련 플랫폼사, 제작사와 작품 계약 체결 또는 에이전시 취업 등을 이뤘다. 올해 7개 과정 140명 양성을 목표로, 상반기에 4개 과정을 운영했고 하반기에 3개 과정 60명의 교육생을 새롭게 모집하는 것이다. 주요 분야는 웹툰 및 웹소설로, 웹툰 과정은 다음달 4일까지 모집해 다음달 21일부터 10월31일까지 14주간 교육한다. 웹소설은 오는 29일까지 모집하며 8월1일~9월26일 기간에 교육한다. 코스별로 8주 또는 최대 14주간 현직 작가와 PD가 이론부터 실습
김성휘기자 2025.06.19 19: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웹툰 플랫폼 시장에서 네이버와 카카오 계열 플랫폼의 위상이 공고하지만 벤처·스타트업들이 운영하는 중소 플랫폼들도 빅테크 계열 플랫폼이 제공하지 않는 장르물 등 틈새시장을 공략하며 약진하고 있다. 29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4 만화산업백서'에 따르면 웹툰 이용자들이 주로 이용한다고 꼽은 서비스(1+2+3순위)는 △네이버웹툰 87.1% △카카오페이지 37.6% △네이버시리즈 27.6% △인스타그램 20.9% △카카오웹툰 20.8% 등 1위부터 5위까지가 모두 빅테크 계열 플랫폼으로 조사됐다. 중소 플랫폼들도 존재감을 보여준다. 레진코믹스가 9.5%로 6위, 탑툰이 8.8%로 7위를 기록하며 빅테크 플랫폼을 뒤쫓고 있다. 두 플랫폼은 각각 키다리스튜디오의 자회사인 레진엔터테인먼트와 탑코미디어가 운영한다. 콘진원은 백서에서 "레진코믹스, 탑툰 등은 2021년
고석용기자 2025.06.09 17:36:14美 코믹·日 망가 뛰어넘는다...이현세도 반한 'K-웹툰'의 신병기 [미래산업리포트 (4) AI가 그리는 K-웹툰의 미래]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1조8290억원. 문화체육관광부가 밝힌 2022년 국내 웹툰업계의 매출 규모다. 네이버, 카카오 등 주요 웹툰 플랫폼과 콘텐츠제공사(CP)를 합친 것이다. 이들의 해외 자회사 실적 등 집계되지 않은 영역까지 합하면 총 매출액은 이보다 많은 것으로 보인다. 만화산업은 1980~1990년대 '만화방 전성시대'를 거쳐 2000년대 모바일과 PC 속 '웹툰'으로 변신하더니 어느새 2조원에 육박하는 시장규모로 커졌다. 여러 세대를 거치며 이현세, 허영만, 강풀, 윤태호 등 스타작가들도 끊임없이 탄생했다. K-웹툰은 이제 영화, 음악과 함께 한류 콘텐츠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했다. 국내 업체들은 '만화'(망가)의 원조 격인 일본을 제치고 글로벌 웹툰 시장을
유니콘팩토리기자 2025.05.04 0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