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쇼크는 파괴적 이벤트(Disruptive Event)입니다. 한국에 위기가 될 수도,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중국발 인공지능(AI) '딥시크' 쇼크에 한국 양대 빅테크인 네이버(NAVER), 카카오가 AI 고삐를 다시 죄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AI 관련 '2군 국가' 오명을 벗기 위한 이들의 움직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기업 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6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재철AI대학원의 김기응 석좌교수(국가AI연구거점 센터장)는 머니투데이와의...
김소연기자 2025.02.10 10:06:36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다. 중국발 가성비 AI(인공지능) '딥시크' 쇼크가 불러온 나비효과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위기마다 구원투수로 나섰던 이해진 창업자가 답보 상태인 네이버의 AI 사업을 본 궤도로 끌어올릴지 주목된다. 5일 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이사회는 이번 주 중 이해진 창업자의 사내이사 복귀 안건을 주주총회에 올릴 예정이다.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이 창업자가 사내이사로 선임되면 이사회 의장을 맡을 전망이다. 이사회에서 나온 지 7년 만이다. 이사회 안건은 공시 사...
김소연기자,이찬종기자 2025.02.06 09: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의 딥시크가 국내 AI(인공지능) 모델 개발 스타트업들에게도 기회가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딥시크 등의 오픈소스를 활용해 고성능 AI모델을 개발할 기술력을 가진 기업들이 많아서다. 다만 오픈소스 활용에 도전하는 수많은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특화된 데이터나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하정우 네이버 퓨처AI센터장은 5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여의도 63빌딩에서 개최한 'AI 개발 ...
고석용기자 2025.02.05 17: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