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신은 'All the information around me'라는 기업 비전에 따라 언제나 새롭고 인간 중심적인 서비스를 고민하며, 세상 모든 사람들이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드테크 기업입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푸드테크 기업 식신은 현실 공간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 '트윈코리아'에서도 유명 인플루언서들의 활동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고 3일 밝혔다. 트윈코리아는 국내 최초의 전국 단위 공간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현실의 구역을 메타버스에 구현해 각 지역을 '셀'(Cell)로 구분해 분양한 뒤 셀 소유자, 유저, 소상공인이 상생하는 플랫폼을 만들었다. 트윈코리아는 이달 중 월간 이용자 수(MAU) 350만명인 맛집 정보 서비스 '식신'과 데이터를 연동하고 식신에서 추진하는 유명 인플루언서들의 추천 맛집과 미식 매거진을 연동한다. 이를 통해 리뷰 생태계를 활성화해 '쏠쏠한 리뷰테크(리뷰+재테크)'서비스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계획이다. '트래블러'라고 부르는 트윈코리아 이용자들은 영수증 인증, 사진 추가 옵션에 따라 50~300P의 트윈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1P=1원 가치로 네
2024.07.03 23: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식권 시장점유율 1위 기업 식신이 식권 거래액을 2027년까지 연간 1조원 규모로 성장시키겠다고 31일 밝혔다. 현재 식신의 모바일식권 서비스 이용자는 하루 24만명에 달한다. 올해 거래액은 약 2000억원으로 전망된다. 식신은 국내 기업 직장인 중 점심 식대를 제공받는 직장인은 약 1900만명으로 금액은 30조원 규모로 추산하고 있다. 이중 절반 정도는 모바일 식권으로 전환할 의지가 있는 만큼, 앞으로 시장을 적극적으로 확장해간다는 계획이다. 식신은 "모바일식권이 종이 영수증 사용을 없애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의 일환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며 "아울러 식대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도 꼽힌다"고 말했다. 식신의 모바일식권은 CU와 GS25 등 편의점으로도 사용범위를 확장했다. 지난 3월에는 SPC와 제휴를 맺고 파리바게뜨에서 사용할 수 있
2024.05.31 1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푸드테크 기업 식신이 30억원 규모로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 투자 유치를 마무리하고 상반기 내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달 안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청구서도 제출할 계획이다. 이번 프리IPO투자에는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등이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했다. CJ프레시웨이는 마그나XCJ프레시웨이 시너지펀드를 통해 전략적 투자자로 투자를 단행했다. 2010년 설립된 식신은 맛집 평가 및 추천 서비스 '식신'으로 시작해 2015년 모바일식권인 '식신e식권'을 선보였다. 식대 장부나 종이식권, 영수증 관리가 필요없는 편리함을 장점으로 다양한 유형의 기업 식대 정산 및 관리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현재 모바일식권 서비스는 하루 약 23만명이 이용하고 있으며, 올해 예상 거래액은 약 2500억원이다. 식신의 월간 활성사용자수(MAU
2024.02.26 17:21:1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광화문, 여의도 등 사무실 밀집지역엔 점심시간 어김없이 진풍경이 펼쳐진다. 직장인들이 점심값으로 쓰는 돈은 얼마나 될까. 이 같은 의문에 거침없이 대답하는 사람이 있다. "직장인 점심값은 연간 34조원쯤 돼요. 회사가 밥값을 지원하는 액수가 그중 절반인 17조원에 달합니다. 이게 모바일식권(e식권)이 적용 가능한 시장이고요." 안병익 식신 대표는 이 '직장인 점심' 시장에 e식권 열풍을 일으켰다. 식신의 e식권은 1월 현재 900여개 기업, 약 23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식신은 이를 바탕으로 상장에 나섰다. 지난해 기술평가를 통과, 올해 초 예비심사를 청구한다. 컴퓨터과학을 전공한 안병익 대표는 한국통신(KT) 연구원일 때 위치정보를 다루면서 인생 행로가 달라졌다. ━모바일 e식권으로 성장, IPO 준비 ━식신은 e식권과 맛집 추천 서비스 '식신'을 운영한다. 지
2024.01.15 0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푸드테크 기업 식신의 공간 메타버스 플랫폼 '트윈코리아'가 8일부터 '마켓메타'에서 셀을 사고팔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식신은 8일 오전 11시 공식 론칭하는 마켓메타에서 트윈코리아의 셀 거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마켓메타는 부동산컨설팅 기업 ERA코리아와 센츄리21코리아가 설립한 P2P(개인간 거래) 거래소다. 트윈코리아의 '셀'은 지도 위 가로, 세로 길이 각 100m에 해당하는 약 3000평 규모의 현실 좌표 기반 디지털 땅이다. 셀을 보유하면 다른 유저들의 맛집 리뷰·방문에 따른 수수료를 얻을 수 있다. 3D 가상 공간 개발 등을 통해 보유한 셀의 가치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트윈코리아는 서울과 수도권 신도시 지역의 여러 상권에 대한 셀 분양을 진행했다. 을지로, 도산공원, 가로수길, 강남역, 삼성동, 한남동, 홍대, 청담동, 여의도, 용산 등 38개
2023.08.08 1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