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한국판 '팔란티어', '딥시크'는 없을까?

김소연 기자, 천현정 기자, 이찬종 기자 기사 입력 2025.05.06 14:18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머니투데이 주최 'AI와 한국의 미래' 지상 좌담회]②

[편집자주] 머니투데이는 지난달 30일 서울시 종로구 머니투데이 본사에서 AI 정책 혁신을 위한 좌담회를 개최했다. 최경진 한국인공지능법학회 회장(가천대 국제대학장)의 사회로 산업계·학계·정책 전문가로 꾸려진 5명의 패널[가나다순: 김덕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상임위원·김영규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정책실장·김유철 LG AI 연구원 전략부문장·김준섭 KB증권 수석연구위원·박종천 작가('챗GPT 시대 살아남기' 저자, 개발자)]이 AI G3 국가 도약을 위한 규제 해소, 노동 혁신, 인재 양성 방안을 모색했다.
'AI와 한국의 미래' 지상 좌담회. 가장 왼쪽부터 김덕호 경사노위 상임위원, 박종천 작가, 최경진 교수.  /사진=김창현 기자 chmt@
'AI와 한국의 미래' 지상 좌담회. 가장 왼쪽부터 김덕호 경사노위 상임위원, 박종천 작가, 최경진 교수. /사진=김창현 기자 chmt@

디지털 제국과 디지털 식민지, 두 가지 선택지 중 우리는 무엇을 고를 수 있을까. 세계적인 석학 '유발 하라리'는 자신의 저서 '넥서스'에서 "AI(인공지능)는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역사상 최초의 기술"이라며 "AI는 우리 종의 역사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의 진화 경로를 바꿀 것"이라고 했다. AI는 산업계를 넘어 인류의 삶 전체를 송두리째 뒤흔들 것으로 예상된다.

AI 시대 주도권을 잡기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하지만 한국은 규제 일변도 정책과 정치권의 과거지향적 태도로 빅테크 기업들의 기술 혁신 의지마저 사라지고 있다. 챗GPT가 출시된 지 3년, 이미 시간 차가 생겼지만 늦지 않았다. 한국을 AI G3(주요 3개국)으로 이끌기 위해서라도 산업·노동의 새 판을 짜야 하는 시기다.

좌담회는 △AI 육성방안 △AI 규제 △ AI 이후의 미래 3개 부문으로 진행했다.



'디지털화가 이익' 비전 제시하고 세제 혜택 줘야


-사회(최경진 한국인공지능법학회 회장) : AI 성공을 위해 학습 데이터가 필요한데 데이터 사일로(부서 간 데이터 격리)가 심하다. 한국은 왜 '팔란티어(보안·정보 분석에 강점이 있는 미국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같은 회사를 못 만들까? AI 진흥책이 있다면?

▶김유철 LG AI 연구원 전략부문장: 데이터를 주면 나의 경쟁력이 없어진다고 생각한다. 데이터 디지털화도 안 됐다. 기업 내에서도 공유가 안 되는데 외부는 더 어렵다. 이해관계나 소유권, 보안 문제 등이 있다. 일단 데이터를 전자화하는 디지털 전환(DX)이 선행돼야 한다. 또 데이터센터는 전화 기지국처럼 많을수록 좋다. 그런데 비수도권에 데이터센터를 짓는 경향이 있다. 인력 고용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에 유지 보수 측면에서 수도권이 좋다. 수도권 데이터 센터 규제를 풀어줘야 한다.

▶김덕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상임위원: 정부 역할이 크다. 미국은 무기를 하나 구입해도 소프트웨어를 팔란티어로 깔라고 권한다. 중국은 모든 데이터를 (국가가) 통제한다. 미국과 중국처럼 강력한 정부 지원과 산학연계가 필요하다. 또 개인정보 보호에만 사회가 천착하지 않았으면 한다.

▶박종천 작가('챗GPT 시대 살아남기' 저자, 개발자): DX(디지털 전환)가 먼저다. 그동안 디지털 전환에 사람이 부족해서 못했는데 이제 AI로 아날로그 데이터를 쉽게 디지털화할 수 있다. 대신 정부가 공공 데이터, 아날로그 데이터와 문서, 회사 데이터 등 디지털화를 독려해야 한다. 전 세계에 한국어 데이터가 많아지는 것이 한국의 AI 주권을 지키는 길이다. 또 AI를 잘 다루는 인재 육성이 중요하다. 모두가 AI를 쓰는 것부터가 글로벌 격차 해소다.

▶김준섭 KB증권 수석연구위원 : 기업이 데이터 공유할 유인을 만들어야 한다. 세제상 혜택이나, 디지털화가 이익이 될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김영규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정책실장 : 최근 AI가 국가 전략 기술에 포함됐고, 전략산업 사업자들에게는 세액공제를 해준다. 그러나 수도권 지역 데이터센터는 세액공제가 안 된다. 인센티브를 줘야 투자가 활성화된다.
  • 기자 사진 김소연 기자
  • 기자 사진 천현정 기자
  • 기자 사진 이찬종 기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