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전력산업의 승부는 전기를 얼마나 많이 생산하느냐가 아니라 수요와 공급을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맞추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전라도 광주에 위치한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연구센터를 이끄는 정구형 에너지신산업연구센터장은 전력산업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고 진단했다. 태양광과 풍력 같은 신재생에너지가 늘어나면서 전력 생산량을 수요에 맞추는 일이 어려워졌다. 예전의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처럼 수요에 따라 출력을 자유롭게 조절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전력 생산·수요 예측과 제어 기술이 산업의 핵심 가치로 떠오른 이유다. 센터의 이름에도 들어간 '스마트그리드'는 흔히 '지능형 전력망'으로 불린다. 전력 수급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IT 기반 인프라 전체를 뜻한다.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가 늘어나면서 전력 공급은 더 불규칙해졌다. 구
류준영기자 2025.08.30 14: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국립창원대학교와 손잡고 운영한 실전형 현장실습 프로그램 '리서치 캠프(Research CAMP)'가 첫 수료생을 배출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달 7일부터 이달 6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된 이번 리서치 캠프는 총 184시간의 교육과정을 통해 국립창원대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GAST) 소속 이공계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개발(R&D) 체험과 진로 멘토링을 제공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KERI의 산학연 협력 플랫폼 구축사업과 국립창원대의 글로컬대학30 사업의 공동 기획으로 마련됐다. 수도권에 집중된 양질의 교육 자원 편중을 극복하고, 지역 내에서도 수준 높은 실전형 교육과 미래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학생들은 KERI가 보유한 이차전지, 전력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 분야의 연구현장을 직접 체험
류준영기자 2025.08.07 10: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경남 창원 강소특구의 기술핵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이 '이노테크 발굴 및 창업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KERITOR(캐리터, KERI+accelerator) 6기'를 모집한다. 모집 기한은 내달 26일까지며, 대상은 우수한 기술 역량을 보유한 예비 창업자 혹은 7년 미만의 초기 창업자다. 모집 분야는 2개 분야(특화 분야-전기추진시스템 분야, 일반 분야 - 특화 분야 外 기술 기반)로 나뉜다. 6기 선발팀...
류준영기자 2025.04.28 10: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은 한국재료연구원(KIMS)과 함께 고용량 이차전지 구현을 위한 '분무건조 기술 기반 고성능 건식 전극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차전지의 전극은 전기를 저장하는 '활물질', 전류의 흐름을 돕는 '도전재', 그리고 이들을 결합하는 접착제 역할의 '바인더'를 혼합해 만든다. 이 혼합 공정에는 용매를 사용하는 '습식 공정'과, 용매 없이 고체 상태의 파우더만으로 혼합하는 '건식 공정'이 있...
류준영기자 2025.04.07 10: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이하 전기연)이 로버 제조 기업 '무인탐사연구소(UEL)'에 전기파워트레인 기술을 이전했다고 31일 밝혔다. 로버는 달이나 행성 표면을 돌아다니면서 지형, 온도 등 각종 환경 조건을 분석하고, 자원 탐사 임무를 수행하는 유무인 차량을 말한다. 정부의 우주 개발 로드맵엔 2032년까지 한국형 달 탐사 착륙선 개발이 예정돼 있고, 다양한 과학적 임무를 수행할 탑재체 중 하나로서 로버가 고려되고 있다...
류준영기자 2025.03.31 10: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은 나노융합연구센터 한중탁 박사팀이 기존 합성섬유 공정 방식을 활용해 웨어러블(착용형) 전자기기의 근간인 '기능성 와이어(전선)'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사람의 손목, 귀, 눈과 같이 몸에 부착하거나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스마트 시계·안경·이어폰 등 다양한 형태로 이미 우리 일상이 된 지 오래다. 이러한 기기의 핵심은 가볍고, 오래 가는 성능을 보유해야 하는 것과 함...
류준영기자 2025.03.17 18: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