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차량 및 엣지 디바이스용 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 보스반도체가 캐나다의 반도체 기업 텐스토렌트와 '개방형 칩렛 아틀라스(OCA)' 아키텍처 개발 및 확산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텐스토렌트는 인텔·AMD 부사장을 지내며 반도체 설계의 전설이란 평가를 받은 짐 켈러가 이끄는 스타트업이다. 칩렛은 기능별로 나뉜 소형 반도체 블록을 조합해 하나의 '시스템온칩(SoC)' 반도체를 구성하는 기술이다. 개발비용, 설계난이도, 수율 관련 첨단공정의 한계들을 극복하고 용도·목적별 반도체 설계를 가능케 해 주목받고 있다. 양사가 개발·확산키로 한 OCA는 칩렛 공정에서 반도체 블록들의 호환 표준을 말한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OCA 아키텍처를 따르는 반도체 블록 간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구현하는 등 기술 고도화에 나선다. 또 OCA 아키텍처
고석용기자 2025.10.24 11: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지난 7월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역대 최대인 23조원(165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따내며 화제가 됐다. 이 소식이 더 주목받은 건 계약 상대방 때문이었다. 주문자는 반도체 전문기업이 아닌 자동차 제조사 테슬라였다. 테슬라가 자율주행 등 AI(인공지능)를 위해 반도체에도 수십조원을 쏟아붓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계약이었다. 테슬라가 가장 앞서고 있지만 다른 자동차 업계도 이미 AI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카' 시장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운전은 자율주행 AI가 책임지고 탑승자는 차량 내부에서 영상, 게임, 쇼핑 등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즐기는 새로운 개념의 자동차다. 이에 따라 많은 자동차 기업들이 차량용 AI와 이를 구동할 반도체에 주목하고 있다. 팹리스 스타트업 보스반도체도 차량용 NPU(신경망처리장치)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박재홍 보스반도체 대표는 "개발 중인
성남(경기)=고석용기자 2025.09.22 06: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차량용 NPU(신경망처리장치) 설계 팹리스 보스반도체가 자사의 반도체 '이글-N'이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과의 샘플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4일 밝혔다. 보스반도체는 이를 기반으로 완성차 제조사는 물론 1차 협력사와 로봇 기업들과의 협력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보스반도체의 이글-N은 '칩렛' 기술을 적용한 250TOPS(초당 조단위연산량) 성능의 차량용 반도체다. 칩렛 기술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반도체를 각각 제작한 후 하나의 큰 반도체로 합치는 기술로, 생산비용 절감 등 효율이 높지만 기술 난이도가 높아 차량용 반도체에는 적용되지 못했다. 보스반도체는 "안전성이 중시되는 차량용 반도체에서 엄격한 안전 기준을 충족시키며 최신 칩렛 기술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라며 "칩렛 아키텍처를 통해 반도체 성능을 2000TOPS 이상까지 확장할 수 있어 미래 자율주행과 커
고석용기자 2025.09.04 11: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민간 우주 발사체 스타트업 우나스텔라가 전날(28일) 밤 11시 50분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자체 발사장에서 소형 발사체 '우나 익스프레스 1호기(UNA EXPRESS-I)'의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대한민국 영토 내에서 민간 기업이 자력으로 로켓을 발사해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나스텔라는 2022년 2월 회사 설립 이후 약 3년 만에 이뤄낸 성과라고 강조했다. 발사된 우나 익스프레스 1호기는 길이 9.45m, 총중량 2톤에 추력 5톤급의 케로신과 액체 산소 기반 소형 발사체다. 발사체는 총 10km의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고흥군 해상 안전 설정 구역으로 낙하했다. 탑재체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충남대 소속 연구팀들이 개발 중인 물질의 미세 중력 시험 장치가 실렸다. 이번
고석용기자 2025.05.29 16: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