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세계적 혁신도시 서울, 더많은 유니콘 키우려면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서울을 다녀간 중국인들이 서울생활을 그리워하는 '서울병(Seoul sick)'을 겪는다고 해서 화제다. 서울이 세계인들에게 이토록 매력적인 도시가 되고 있다. 그 이유로 'K-컬처'가 쉽게 떠오르지만 바탕엔 경제력이 있다. 미국 뉴욕이 문화·예술의 세계 수도 지위에 오른 것도 기업과 자본, 일자리를 끌어들인 경제 흡인력이 다양한 문화를 꽃피우는 원동력이 됐기 때문이다. "서울은 정책·산업·학계가 교차하는 '살아 있는 실험실'이다." 서울투자자포럼(SIF 2025)을 위해 방한한 데이빗 퍼거슨 와이즈키 부회장은 22일 여의도 한 호텔서 열린 SIF에서 단언했다. 퍼거슨은 서울에 대해 "삼성, LG,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과 같은 글로벌 기업의 R&D가 있고 초고속 ICT 인프라 위에 AI(인공지능), 양자컴퓨팅, IoT(사물인터넷), 우주, 사이버보안 등 5대
김성휘기자
2025.09.23 15: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