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병원 업무 자동화 솔루션 운영업체. 챗봇 메신저 기반 동물병원 고객 관리 플랫폼 '늘펫플러스' 출시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동물병원을 운영하는 수의사 A씨는 보호자들의 전화에 응대하는 것이 꽤 부담스러웠다. A씨는 쏟아지는 질문에 대응하느라 감정소모, 피로감이 가중됐다. 또다른 수의사 B씨는 "우리 병원은 24시간 운영하지 않는데 새벽에 전화가 울릴 때면 난감했다"고 호소했다. 반려인구가 늘면서 반려동물의 건강을 관리·치료하는 동물병원과 수의사의 역할도 중요해졌다. 동물은 말을 못하므로 펫 헬스케어는 동물의 보호자가 반드시 참여하는 과정이다. 게다가 동물병원 중 상당수인 1인병원에선 수의사가 진료·상담·진료예약을 도맡는다. 상당수 수의사들이 위와 비슷한 고충을 겪는다. 이들이 찾은 대안은 동물병원 전용 챗봇이다. 새 방식으로 몇 달간 보호자 상담을 응대한 A씨는 "감정소모가 덜하고, 진료 집중력도 올라갔다"고 평가했다. B씨는 "환자(동물) 상태를 메신저로 미리 알 수 있으니 위급한
2024.08.15 11:18:38[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인 4명 중 1명은 반려동물과 함께 산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는 550만을 넘어섰으며 반려인은 1262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인구의 24.5%에 해당한다. 1인 가구 증가와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로 반려인은 지속 증가세를 보인다. 이와 맞물려 반려동물 양육에 드는 비용을 아끼지 않고 반려동물 관련 제품·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연관 산업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 헬스케어에 대한 주목도가 높다. 반려가구 1000곳을 대상으로 한 KB경영연구소의 조사에서 응답자의 55%는 반려동물에 대한 가장 큰 관심사로 '건강관리'를 꼽았다. 윤석열 정부는 반려동물 헬스케어의 큰 부분인 '펫보험 활성화'를 국정과제에 포함시키도 했다. 시장의 성장과 정책적 지원을 등에 업고 대기업부터 스타트업
2024.06.27 11:00:00AI(인공지능) 챗봇 기반 동물병원 업무 자동화 솔루션 '늘펫플러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벳플럭스가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 창업 투자 프로그램 '팁스(TIPS)'에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중소기업벤처부가 주관하는 팁스는 민간 투자사가 선발한 미래 유망 스타트업에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민간 주도형 기술 창업 육성 프로그램이다. 벳플럭스는 이번 팁스 선정으로 2년 간 최대 5억원의 연구개발 비용을 지원 받는다. 늘펫플러스는 현직 수의사가 개발한 동물병원 업무 자동화 솔루션이다. 언어 인지 AI 기술 기반의 챗봇으로 △진료 예약 △진료 기록 관리 △진료 후 가정 내 처치 및 관리 안내 등 반려동물 통원치료 전반의 과정을 자동화했다. 늘펫플러스 솔루션은 챗봇을 활용한 고객 상담 자동화, 텍스트 음성 변환 기술(TTS) 등을 통한 부재 중 전화 자동 응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인력으로 운영되는 소규모 동물병원의 고객 관리 및 행정 업무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2022년 9월
2023.07.04 09:56:10챗봇 메신저 기반 동물병원 고객 관리 및 유치 플랫폼 '늘펫플러스'를 출시한 벳플럭스가 스파크랩으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9월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늘펫플러스는 현직 수의사가 직접 만든 동물병원 업무 자동화 솔루션이다. 챗봇을 이용해서 진료 예약, 진료 기록 관리, 다음 예약 관리, 진료 후 가정 내 처치 및 관리 방법 안내에 이르는 전과정을 자동화해 행정에 낭비되는 시간과 인력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개발됐다. 늘펫플러스는 챗봇의 상담 및 진료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 해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수의사의 업무 부담을 줄여준다. 고객 역시 과거 진료에 대한 기록을 손쉽게 열람하고, DB를 통해 반려동물의 최근 병력을 잘 파악하고 있는 수의사의 지속적인 관리를 받으며 이른바 '반려동물 주치의'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챗봇을 통해 자동화된 메시지를 활용함으로써 빠른 상담을 제공하고, 실시간 상담 응대 및 상
2022.10.17 09:50:27